naver-site-verification: naverf83ad7df1bcc827c523456dbbc661233.html "북한이 발끈한 이유 알겠네" 사진으로 본 북한 철도의 속살
홈 > 블로그 > 내 블로그
내 블로그

"북한이 발끈한 이유 알겠네" 사진으로 본 북한 철도의 속살

파비아노 0 2673  

"북한이 발끈한 이유 알겠네" 사진으로 본 북한 철도의 속살


"상대방에 대한 예의도 모르는 무례한 처사다."
북한이 최근 우리 통일부가 북한 철도에 대한 남북공동조사 결과보고서를 공개한 데 대해 강하게 반발하며 한 말이다. 
"서푼짜리 부실한 보고서 공개놀음 따위"라는 표현도 했다.



b5a49bf522f865b9379119c674488b4d_1555387628_466.jpg 


© ⓒ중앙일보 레일을 받치는 침목이 썩고, 레일과 침목의 결속 상태도 부실한 북한 동해선 철도. [사진 통일부]



이처럼 북한을 발끈하게 한 보고서에는 어떤 내용이 들어있을까? 

 
16일 통일부가 국회에 제출한 '경의선, 동해선 철도 북측구간 공동조사 결과보고서'를 입수해 확인한 결과,
북한 철도의 속살이 사진을 통해 적나라하게 드러나 있었다.



b5a49bf522f865b9379119c674488b4d_1555387753_2644.jpg 

© ⓒ중앙일보



경의선 철도에 대한 공동조사는 지난해 11월 30일~12월 5일, 동해선 철도는 지난해 12월 8일~17일 사이에 이뤄졌다.
조사구간은 개성~신의주 사이 413.9㎞, 동해선은 금강산~두만강 사이 777.4㎞였다.



경의선, 레일과 터널 노후화 심각 

 
  우선 경의선 철도의 레일과 침목은 심각하게 낡았다.

레일은 닳고 닳았고, 레일을 받치는 침목도 썩거나 깨져 있었다.
  또 레일을 침목에 고정해주는 '체결구'가 없는 경우도 많았다



b5a49bf522f865b9379119c674488b4d_1555387894_8046.jpg 


© ⓒ중앙일보 레일과 침목을 고정시켜주는 체결구가 사라진 북한 경의선 철도. [사진 통일부]


레일과 침목을 고정시켜주는 체결구가 사라진 북한 경의선 철도. [사진 통일부]


교량 위의 침목과 레일 상태도 마찬가지였다. 침목은 썩어서 곳곳이 부서졌고, 침목 고정장치도 곳곳이 비어 있었다.
침목과 레일이 제대로 고정되지 않으면 자칫 탈선 사고를 일으킬 수도 있다.


b5a49bf522f865b9379119c674488b4d_1555388119_4508.jpg 


© ⓒ중앙일보 침목이 완전히 썩은 경의선 철도. [사진 통일부] 



교량 자체의 상태도 심각했다. 장기간 도색을 하지 않아 철근이 부식됐고,

일부 교량에서는 6.25 전쟁 당시 생긴 것으로 추정되는 총탄 자국도 선명했다.


b5a49bf522f865b9379119c674488b4d_1555388221_142.jpg 


© ⓒ중앙일보 부식이 심한데다 총탄 자국까지 선명하게 남은 경의선 교량. [사진 통일부]


부식이 심한데다 총탄 자국까지 선명하게 남은 경의선 교량. [사진 통일부]


또 교량을 받치는 철제 거더의 내부가 변형되거나 잘린 곳도 있었다.

교각 역시 누수와 균열이 여러 곳에서 발견됐다. 


b5a49bf522f865b9379119c674488b4d_1555388330_6501.jpg 


© ⓒ중앙일보 거더 내부가 변형되고 잘린 경의선 교랑. [사진 통일부]



서홍천교는 부식된 철근이 그대로 드러나 있기도 했다. 


b5a49bf522f865b9379119c674488b4d_1555388428_6908.jpg 


© ⓒ중앙일보 부식된 철근이 그대로 노출된 경의선 서흥천교. [사진 통일부]



터널도 상황은 마찬가지였다. 내부 콘크리트가 부서져 있는 곳이 많았고,

물이 샌 흔적도 다수 확인됐다. 바닥의 배수 상태도 상당히 불량했다.


b5a49bf522f865b9379119c674488b4d_1555388554_4988.jpg 


© ⓒ중앙일보 콘크리트가 부서져 내린 경의선 터널 내부. [사진 통일부]



또 터널은 단면적이 작아 속도 향상이나 전철화를 할 때 제약이 우려될 정도였다. 
 철로 옆 전신주 역시 낡고 녹이 많이 슬어 있었다.


b5a49bf522f865b9379119c674488b4d_1555388690_5379.jpg 


© ⓒ중앙일보 낡고 녹슬은 경의선 전신주. [사진 통일부]



동해선도 침목 썩고 레일 닳아 
  동해선 역시 경의선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철도 주변 석축에 균열이 갔고, 노후화도 눈에 띄었다. 
 
 교량은 염해로 인해 표면에 녹이 슬거나 손상된 경우가 많았다. 또 콘크리트가 파손되거나 부식되기도 했다.


b5a49bf522f865b9379119c674488b4d_1555388809_8108.jpg 


© ⓒ중앙일보 동해선 룡흥강교 위를 열차가 달리고 있다. [사진 통일부]



룡흥강교의 경우 기초 보강 콘크리트가 심하게 금이 가 있었다. 


b5a49bf522f865b9379119c674488b4d_1555388901_7148.jpg 


© ⓒ중앙일보 기초 보강콘크리트에 균열이 심한 동해선 룡흥강교. [사진 통일부]



터널도 경의선과 마찬가지로 배수 불량과 콘크리트 파손 등의 문제가 여럿 발견됐다.
원평 터널에선 유지보수를 했는지 널빤지로 벽을 덧대놓은 장면도 찍혀있다.
 


b5a49bf522f865b9379119c674488b4d_1555389078_7108.jpg 


© ⓒ중앙일보 보수공사 흔적이 남아 있는 동해선 원평터널. [사진 통일부]



누수로 철로 주변이 얼어붙거나, 철도 중앙의 배수 기능이 사실상 마비된 경우도 있었다. 


b5a49bf522f865b9379119c674488b4d_1555389182_8023.jpg 


 ⓒ중앙일보 철로 중앙부의 배수 기능이 사실상 마비된 동해선 말령터널 내부. [사진 통일부]



레일 상태 역시 문제가 많았다. 닳거나 패이고, 혹은 토막 낸 레일을 끼워 넣은 사례도 확인됐다.

침목 부패도 심했다. 


b5a49bf522f865b9379119c674488b4d_1555389389_8891.jpg 


© ⓒ중앙일보 심하게 마모된 동해선 레일. [사진 통일부]



다만 2013년 북·러 합작으로 개·보수한 라진~두만강 구간은 비교적 양호한 상태로 평가됐다.


b5a49bf522f865b9379119c674488b4d_1555389536_2979.jpg


© ⓒ중앙일보 북한이 러시아와 합작해 개,보수한 라진입체교. [사진 통일부]



b5a49bf522f865b9379119c674488b4d_1555389632_3087.jpg 


© ⓒ중앙일보 북한 전기기관차. [사진 통일부]  



b5a49bf522f865b9379119c674488b4d_1555389716_9977.jpg 


© ⓒ중앙일보 북한 디젤기관차. [사진 통일부]



공동조사단은 보고서의 종합 의견에 ▶경의선, 동해선 모두 전반적으로 노후화 심각

▶전반적 운행속도 시속 30~50㎞(개성~사리원 구간은 시속 10~20㎞) ▶레일, 침목 등 궤도 부분 마모·파손 상당히 진행

▶교량, 터널은 정밀안전진단 필요라고 적었다. 
또 북한 철도현대화 사업 전에 보완조사와 정밀안전진단 등을 추가로 실시해야 한다고 명시했다.
  
 
강갑생 교통전문기자 kkskk@joongang.co.kr   



0 Comments
Category
State
  • 현재 접속자 75 명
  • 오늘 방문자 4,384 명
  • 어제 방문자 4,996 명
  • 최대 방문자 14,296 명
  • 전체 방문자 1,229,475 명
  • 전체 게시물 10,948 개
  • 전체 댓글수 35,460 개
  • 전체 회원수 70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