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site-verification: naverf83ad7df1bcc827c523456dbbc661233.html 때론 돕고 때론 대들었던 ‘혈맹의 동지’ … 박정희는 JP를 끝내 내치지 않
홈 > 블로그 > 내 블로그 > 끄덕끄덕...
내 블로그

때론 돕고 때론 대들었던 ‘혈맹의 동지’ … 박정희는 JP를 끝내 내치지 않

fabiano 0 2216  

[김종필의 '소이부답'] <75> 박정희와 JP의 18년
 
1979년 11월 3일 고 박정희 대통령의 유해를 실은 영구차가 동작동 국립묘지로 향하고 있다. 이날 연도엔 시민 200만 명이 그의 마지막 가는 길을 지켜봤다.

박정희 대통령 서거(逝去)부터 국장(國葬)이 치러진 아흐레 동안 나는 내내 청와대에서 머물렀다. 청와대 소접견실에 모셨던 박 대통령 유해는 10월 28일 새벽 입관 뒤 대접견실로 옮겨졌다. 나는 상주(喪主)인 육사 생도 지만군과 근혜·근영 옆에 서서 빈소를 지키며 조문객을 맞았다.

 정부와 국회 인사들이 연이어 조문을 왔다. 문상객 중 김영삼(YS) 신민당 총재가 기억난다. 그는 장발(長髮)에 굽 높은 구두를 신은 평소 모습 그대로였다. YS로서는 얼마 전 자신을 국회에서 내쫓았던 박정희 대통령의 빈소에 찾아왔으니 감회가 남달랐을 것이다. 나는 YS와 말없이 눈으로 인사하며 악수를 나눴다. 내가 그의 손을 꼭 눌러 잡자 그 역시 내 손을 꽉 잡았다. 10월 4일 YS 제명안의 국회 표결 때 내가 유일하게 반대표를 던졌던 것을 그는 알고 있었다.



 안개가 자욱이 깔린 1979년 11월 3일 오전 박정희 대통령의 영결식이 엄수됐다. 박 대통령의 유해는 국화꽃 7만 송이로 뒤덮인 영구차에 실려서 16년(1961년 5·16 이후 63년 12월까지는 장충동 최고회의 의장 공관에서 거주) 가까이 살아온 청와대를 떠났다. 62발의 조포(弔砲)가 청와대 건너 경복궁 안에서 울렸다. 예순둘은 박 대통령이 살아온 햇수다.

 영결식은 중앙청 앞마당에서 열렸다. 5년 전 육영수 여사의 영결식이 열렸던 바로 그곳이었다. 육영수 여사 때는 국무총리인 내가 장의위원장이었지만 이번엔 지만군 바로 뒤편 가족석에 앉았다. 고인에 대한 묵념에 이어 장의위원장인 최규하 대통령 권한대행의 조사와 종교의식이 이어졌다. 박 대통령이 남긴 육성녹음도 흘러나왔다. 그의 카랑카랑한 목소리가 비탄에 젖은 장례식장의 허공을 갈랐다. “주체적 민족사관을 정립하고 조상의 빛난 얼과 자주정신을 오늘에 되살려서 새로운 문화창조와 민족중흥에 적극 기여해야 합니다.” (1978년 6월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개원식 치사) 이어 노산 이은상 선생이 작사한 조가(弔歌)가 합창으로 울려 퍼졌다. “태산이 무너진 듯 강물이 갈라진 듯 이 충격 이 비통 어디다 비기리까….”

1966년 6월 8일 대전 유성만년장호텔에서 박정희 대통령과 김종필 공화당의장이 청와대 출입기자단과 조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중앙포토]
 엄숙한 영결식이었지만 분위기는 5년 전과 묘하게 달랐다. 육 여사 장례식 땐 조문객들이 터져 나오는 울음을 참지 못해 곳곳에서 흐느꼈다. 이번엔 그때보다 슬픔의 농도가 옅었다. 황당하고 터무니없는 죽음의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이다. 나는 쉼 없이 눈물을 흘렸고 내 마음속은 통곡으로 가득했다. 절망에 가까운 비통함에서 터져 나오는 눈물이었다. 박 대통령이 다른 사람도 아닌 부하의 총탄에 맞아 돌아가시다니. 세상에 어떻게 이런 일이 있을 수 있는지 너무나도 슬펐다. 동시에 앞이 깜깜하고 황망했다. 내 손과 발을 꽁꽁 묶은 채 대양 한복판에 내던지고 박 대통령이 홀로 떠나버린 듯했다. 36년이 지난 지금도 그때를 떠올리면 나는 정신이 아득하다.

 영결식을 마친 뒤 사관학교 생도들의 호위를 받은 영구차가 천천히 남쪽으로 향했다. 영구차는 광화문 이순신 장군 동상을 지나 서울시청 옆을 통과했다. 61년 5월 16일 아침 검은 선글라스를 낀 박정희 소장은 혁명군을 이끌고 서울시청 앞 광장에 섰다. 그가 지도자로서의 모습을 국민 앞에 처음으로 보였던 순간이었다. 그리고 18년 뒤 그는 이제 유명(幽明)을 달리해 그곳을 지나게 됐다. 서울역과 한강교를 지나 동작동 국립묘지(현 국립서울현충원)에 이르는 30리 연도엔 200만 인파가 몰려 박 대통령의 가는 길을 지켜봤다.

 영구차 뒤를 따르면서 나는 박 대통령 죽음의 의미를 생각했다. 박 대통령이 이렇게 비참하게 돌아가신 것이 국운(國運)에 예언하는 바가 있을 것만 같았다. 그것이 무엇일지, 다음에 국가에 또 어떤 변고가 일어나지는 않을지를 곰곰이 생각해봤다. 하지만 국립묘지에 이를 때까지도 나의 상념은 이리저리 흔들렸고 아무 결론도 내리지 못했다. 육영수 여사 묘소 옆 유택(幽宅)에 박 대통령을 모셨다. 두 분의 무덤을 바라보며 떠오른 감상은 ‘혁명가가 혁명가답게 돌아가셨다’는 것이었다.

 박 대통령의 장례를 마친 뒤 며칠 간 나는 청구동 집에서 두문불출(杜門不出)했다. 박 대통령과 함께 혁명을 일으킨 지 18년. 돌이켜보면 나로선 부침(浮沈)이 끊이지 않았던 파란(波瀾)의 세월이었다. 그 격동의 무대에 막이 내렸고 나는 불 꺼진 텅 빈 무대에 남겨지고 말았다. 나는 갑작스레 종언을 맞은 내 인생의 제1막을 되돌아봤다.

1979년 10월 28일 청와대 대접견실에 마련된 박정희 대통령 빈소에서 김종필 전 국무총리가 분향을 하고 있다. JP는 국장이 치러진 9일 동안 청와대에 머물며 빈소를 지켰다. 박정희 시대 18년간 2인자 JP는 끊임없이 견제와 감시에 시달렸지만 박정희는 조카사위 JP를 내치지는 않았다. [사진 국가기록포털]

 나는 그와 함께 죽겠다는 각오로 혁명에 임했다. 거사계획이 누설됐던 61년 5월 15일 밤 박정희 소장은 결연한 표정으로 우리에게 이렇게 말했다. “가자. 가다 죽더라도 올바른 역사가 있다면 평가해줄 것이다.” 목숨을 걸고 이룩해낸 혁명이었지만 이후 그는 흔들렸다. 초기에 그는 권력의지가 무뎠고 단련되지 않았다. 정치를 그만둬야겠다며 자꾸 허약한 모습을 보였다. 그런 그를 붙들어놓기 위해 나는 한 발짝 앞서서 일을 벌였다. 내가 장도영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을 잡아넣은 것이나 한·일 정상회담 추진을 위해 이케다 일본 총리를 만난 것도 그런 이유였다.

그는 권좌에 오른 지 7~8년이 지나 권력에 눈을 뜨면서 조금씩 변해갔다. 박 대통령은 ‘디바이드 앤드 룰(divide and rule)’을 통치술로 활용했다. 부하들을 갈라놓고 자신에게만 충성토록 했다. 혁명동지였던 동기들과 내 추천으로 대통령 곁에서 일하게 된 인물들마저 나를 공격하고 등을 돌렸다.

나는 나대로 여러 역정(歷程)을 걸어왔으나 그 과정에서 못 참을 것도 참아야 했다. 청구동 집 2층 서재에 홀로 앉아 ‘권력이란 더러운 것이로구나’라고 한탄한 것이 여러 날이었다.

 박 대통령에게 충성을 바친다면서 나와 맞섰던 김형욱과 이후락, 김성곤은 결국 대통령에 의해 내침을 당했다. 그러나 박 대통령은 나를 그렇게 하지 않았다. 권력에 냉혹하면서도 동시에 그런 약하고 순수한 점이 있는 것이 박정희 대통령이었다. 나는 그의 약한 구석을 알기에 때로는 강하게 나갔다. “제가 나세르입니까”라고 일갈하며 들이대기도 하고 “다 그만두겠다”며 정계 은퇴를 선언하기도 했다. 하지만 나는 일정한 선을 지켰다. 나는 박 대통령에게 대들 땐 단도직입으로 한마디만 던졌다. 그렇게 하면 박 대통령은 화를 내지 않고 나중엔 웃어넘기곤 했다. 내가 그의 옆에서 18년을 지킬 수 있었던 이유다.

 다른 인과(因果)도 있다. 내가 박 대통령의 조카딸 박영옥의 남편이라는 점이 작용했다. 박영옥을 내게 맡긴 사람이 박 대통령이었다. 51년 전쟁통에 부산 임시 육본의 연병장을 걸으면서 그가 “내 조카딸 데려갈 생각 없어?”라고 물었고 나는 흔쾌히 “본인이 좋다면 데려가겠습니다”라고 수락했다. 그와 나는 그렇게 맺어진 혈맹(血盟)이었다. 그 혈맹 때문에 나는 3선개헌(三選改憲)의 고비에서도 동지들을 버리고 박 대통령 곁에 섰다. 나는 박 대통령을 도와드리는 게 나의 정도(正道)라고 여겼다. 결과적으로는 그렇게 했기 때문에 오늘날 이 나라의 기반을 굳힐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그 선택을 후회하지 않는다.

 박 대통령은 자신의 일생을 정리한 회고록을 남기려고 했었다. 대통령 집무실 안에 금고가 하나 있었는데 그것은 돈을 넣어두기 위한 금고가 아니었다. 중요한 서류를 박 대통령이 보관하는 용도였다. 정밀한 성격이었던 박 대통령은 수시로 수첩에 무언가를 적는 습관이 있었다. 주로 국민들에게 자세히 알릴 만한 정책 문제였다. 그런 자료를 그 금고에 모아두고 있었다. 그가 말하진 않았지만 나는 그 모습을 보고 회고록을 쓰기 위한 준비임을 알았다. 아마도 언젠가 임기를 마치고 청와대를 떠나게 되면 회고록을 쓰시겠구나 싶었다. 박 대통령이 내게 이런 질문을 한 적이 있다. “2차대전 끝나고 각국 수뇌들이 쓴 회고록을 많이들 읽는다던데, 누구 회고록이 가장 마음에 들어?” 나는 2차대전에 관한 회고록들을 거의 다 섭렵하고 있었다. 독후감을 말씀 드렸다. “여러 정치인이 회고록을 썼지만 가장 감명받은 건 드골과 처칠 회고록입니다. 샤를 드골의 회고록은 수식이나 자화자찬을 더하지 않고 정직하고 정확하게 썼습니다. 윈스턴 처칠 수상의 회고록은 노벨 문학상을 탈만 했습니다.” 내가 알기로 박 대통령은 처칠 회고록을 조금 읽다 말았다. 하지만 자료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꼼꼼함은 드골이나 처칠 못지않았을 것이다. 박 대통령의 갑작스러운 서거로 모두 없던 일로 되고 말았지만 말이다.

 박 대통령은 회고록 집필을 실천하지 못한 채 홀연히 떠났다. 역사의 격랑 속에서 쏟아진 환희와 갈채, 반발과 불만의 용광로가 되어 모두 끌어안고서 돌아가셨다. 박 대통령의 죽음은 통탄스러웠지만 그의 시대는 장엄하게 막을 내렸다. 미처 준비할 틈도 없이 새 시대의 문이 열리고 말았다. 실의에 빠져 주저앉아 있을 수만은 없었다. 새로운 시대는 새롭게 발전하는 것이 역사가 지향하는 여정이기 때문이다.

정리=전영기·한애란 기자 chun.younggi@joongang.co.kr

● 소사전 국장과 국민장=전·현직 대통령이나 국가·사회에 현저한 공훈을 남겨 국민의 추앙을 받는 사람에 대한 장례 방식. 국장(國葬)은 장의 기간이 최대 9일, 국민장(國民葬)은 7일이다. 국장은 관공서에서 장례 기간 내내 조기를 게양하지만 국민장은 영결식 당일만 게양한다. 1979년 박정희 전 대통령과 2009년 김대중 전 대통령의 장례는 국장으로 거행했다. 국민장은 최규하·노무현 전 대통령과 김구 임시정부 주석, 육영수 여사 등 13차례 있었다. 전직 대통령의 장례 방식을 두고 논란이 일자 2010년 정부는 이 둘을 국가장(國家葬)으로 합치고 장례 기간을 5일로 정했다.



0 Comments
Hot

인기 좋은 글로 여는 하루(2)

댓글 0 | 조회 2,182
Hot

인기 좋은 글로 여는 하루

댓글 0 | 조회 1,821
Category
State
  • 현재 접속자 40(1) 명
  • 오늘 방문자 2,362 명
  • 어제 방문자 2,660 명
  • 최대 방문자 14,296 명
  • 전체 방문자 1,337,473 명
  • 전체 게시물 11,136 개
  • 전체 댓글수 35,742 개
  • 전체 회원수 72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