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site-verification: naverf83ad7df1bcc827c523456dbbc661233.html 은하수(銀河水: Milky way)
홈 > 블로그 > 내 블로그 > 사진창고
내 블로그

은하수(銀河水: Milky way)

fabiano 4 2384  
 

은하수(銀河水)  -  여름 밤, 하늘을 가로지르는 별들의 江.
 

우리나라의 견우직녀 동화에서 서로 사랑하는 두 주인공을 갈라놓은 강으로 잘 알려져 있는 은하수.

은하수는 1610년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최초로 망원경으로 관측했으며, 수많은 별의 집단이라는 것도 알아냈다.

우리은하의 중심부는 궁수자리 방향에 있으며, 은하면은 북쪽의 카시오페이아자리에서 남쪽의 남십자자리까지 이어진다.

즉, 은하수는 우리은하 팔에 존재하는 수많은 별들의 집단인 것이다.
 

Milk_way_02.jpg
 
Milk_way_01.jpg
 
우주에는 우리은하 뿐만 아니라 다양한 외부은하들이 많이 존재한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은하는 우리은하로부터 가장 가까운 안드로메다은하이다.
 
처음에 사람들은 안드로메다 은하가 별의 작은 집단인 성운일 것이라 생각하여 안드로메다 성운이라 불렀다.
 
1923년 에드윈 허블이 월슨산에 설치된 망원경을 이용해 안드로메다성운이
가스와 먼지로만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별들이 모여 이루어진 것을 확인했다.
 
또한 세페이드형 변광성을 찾아내 이 은하가 우리은하의 바깥에 있음을 밝혔다.
 즉, 성운이 아니라 은하계 밖의 외부은하라고 인식한 것은 아직 100년도 되지 않는 것이다.
하지만 현재에는 은하를 연구하여 우주 팽창을 알아내는 등 많은 연구결과가 나타나고 있다.
 
Milk_way_03.jpg

Milk_way_04.jpg
 
은하수는 우리말로 용(龍)의 옛말인 미르가 변한 미리와 천(川)의 내를 합쳐 미리내라고 부른다.

조용한 시골에서 맑은 밤하늘을 올려다보면 하늘을 가로지르는 뿌연 빛의 띠를 볼 수 있다.
이것이 은하수 즉, 우리은하의 모습이다.

우리는 은하수를 통해서 우리은하의 단편적인 모습을 볼 수 있지만
숲 속에서 숲 전체의 모습을 보기 어려운 것처럼 우리은하의 모습을 두루 볼 수는 없다.

그러나 전파를 통해서 우리은하는 막대나선은하(Sbc형)에 속하며 과학자들이 지름은 약 10만 광년이라는 것을 밝혀냈다.
태양계가 속해 있는 우리은하 원반부에는 별과 성단, 성간 물질이 많으며
두 개의 나선팔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이 명확히 확인되었다.
최근 연구 결과로 우리은하 중심에는 지름 24km 크기의 블랙홀이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네이버 지식백과)

Milk_way_05.jpg

Milk_way_06.jpg

Milk_way_07.jpg
 
 
4 Comments
은하수 2011.07.15 08:00  
ㅋㅋ 저를 찍었네요
드넓은 광야 2011.07.15 17:25  
도대체 우주는 얼마나 큰지 상상만해도 벅찹니다
fabiano 2011.07.16 22:12  
인간이 상상할 수 있는 무한대의 끝이 어디까지인지 알 수가 없으니... 우주의 존재가 불가사의 합니다.
fabiano 2011.07.16 22:13  
그려~~~
Hot
Hot

인기 The great barrier reef of aust…

댓글 0 | 조회 2,401
Hot

인기 2008 - 베네치아 카니발

댓글 4 | 조회 2,327
Hot

인기 LIFE`s Photos

댓글 2 | 조회 2,308
Hot

인기 What a wonderful world!

댓글 4 | 조회 2,292
Hot

인기 Retroatlier

댓글 0 | 조회 2,279
Category
State
  • 현재 접속자 59 명
  • 오늘 방문자 4,129 명
  • 어제 방문자 6,673 명
  • 최대 방문자 14,619 명
  • 전체 방문자 1,428,649 명
  • 전체 게시물 11,133 개
  • 전체 댓글수 35,743 개
  • 전체 회원수 73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