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7년 2월3일 송고한 내 기사다.  이 때 미디어비평지와 소위 말하는 우파 계열 등지에서는 황장엽 우상화 바람이 분다는 비판이 드셌다. 여기에 딱 맞는 기사일 것이다. 

<黃長燁비서는 `까꾸리 참외'선생>

    (서울=聯合) 생쌀과 한컵의 물만으로 점심을 해결하는 기인(奇人). 그러나 네자리수까지 암산하는가 하면 출석부없이도 출석을 부르는 주산과 암산의 천재.

    하지만 찢어지게 가난해 참외를 제대로 먹을 줄 몰라 `까꾸리 참외'(거꾸로  참외)로 불렸던 선생님.

    평양상업학교 졸업생들은 `선생 黃長燁'을 이렇게 기억하고 있었다.

    12일 한국으로의 망명을 신청한 북한 주체사상의 완성자 黃長燁 노동당  국제담당비서는 자기 모교이기도 한 평양상업학교에서 46년부터 모스크바로 떠나기전인 48년까지 3년 동안 교편을 잡아 처음에는 주산과 암산을 강의하다 나중에는  경제학을 가르쳤다고 한다.

    이 학교 7회 졸업생인 黃長燁 밑에서 배운 제자들은 주로 14-15회 졸업생들.

    15회 졸업생 吳貞柱씨(66.서울 서대문구 북아현동)는 13일 "점심시간이면 한 움큼의 생쌀을 씹은 뒤 한 `꼬푸'(컵)의 물과 함께 후루룩 마시곤 하시던 선생님의 모습을 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이같은 기행과 함께 `선생 黃長燁'은 누구도 따라갈 수 없는 암산 실력  때문에 5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제자들의 뇌리에서 지워지지 않고 있다.

    또한 유별나게 책을 좋아하는 책벌레이기도 했다고 제자들은 말한다.

    근엄함이 얼굴에서 떠나지 않는 黃長燁의 강의는 무미건조한 편이어서 그의  수업은 학생들에게는 `수면시간.' 그러나 워낙 과묵해서 감히 반항하는 학생들이 없었다고 한다.

    15회 졸업생으로 평양상업학교 동창회 부회장인 서울 종로구 종로5가  崔在京치과원장(67)은 "워낙 말이 없으신 분이라 학생들에게는 그다지 인기있는 선생님은 아니었다"고 기억했다.

    黃長燁은 또한 보수적인 유학자의 면모를 지녔던 것으로 제자들은 회상하고  있다.

    崔원장은 "선생님은 평소 수업시간이면 학생들에게 `공자.맹자는  인간의  삶을 가르쳐준다. 영어나 수학 잘한다고 까불지마라'고 말씀하시곤 했다"고 회상했다.

    이런 黃長燁이 학생들에게 `까꾸리 참외'로 불렸다는 것은 그가 얼마나  가난한 시절을 보냈는지를 단적으로 말해주고 있다.

    가난 때문에 참외를 먹어보지 못했던 黃長燁은 참외 먹는 방법을 몰라 보통  사람들과는 달리 쓴 밑부분부터 껍질을 까서 먹었기 때문에 이같은  별명을  얻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