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site-verification: naverf83ad7df1bcc827c523456dbbc661233.html 그 시절의 증기열차
홈 > 블로그 > 내 블로그 > 그때 그 시절
내 블로그

그 시절의 증기열차

fabiano 16 1783  
다소, 너른 저수지에 고깃배 한 척이 한가로이  있고 산과 산 사이로 난 철길을 따라
하얀 연기를 길게 날리며 증기열차는 달리고 있다.
우리가 자라던 그때 그 시절에 흔히 볼 수 있었던 낭만적인 광경이다.

 
그러나 이 사진은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 시절, 우리나라에서 선교활동을 하던 Corwin Taylor씨가
1908년 ~ 1922년 사이에 찍은 것으로 한반도와 대륙을 침략했던 일본 제국주의의 수탈의 산물이다.

 
일제는 한반도 내에서 800km 이상의 철도를 건설하였으며 부산에서 신의주까지 한반도를 관통하는
철도를 건설하였다.

막대한 건설자금은 영국에서 차입하였으며 이 자금으로 미국에서 각종 건설자재와 장비 그리고
열차까지 도입하였다.

 
모든 국권을 빼앗긴 이 나라의 백성은 그저, 바라 볼 수 밖에 없었다.
 
Taylor_box21num31.jpg

 
16 Comments
은하수 2010.11.16 07:37  
증기 기관차 정겨움이 가득 묻어 나지요
fabiano 2010.11.16 07:44  
추억이 묻어나는 이 기차가 수탈의 도구로 사용되었으니 다소...
Neptune 2010.11.17 10:08  
석탄으로 가는 기차를 진주에서 사천까지 탄 적이 있었어요. 일부러 구경시키러 몇명이 갔었는데 나중에 새까맣게 되었어요. ㅎㅎ
skywalker 2010.11.17 12:17  
우리 철도는 가슴아픈 과거를 갖고 있지요. 일제의 필요에 의해 만들어졌고 방향도 좌측통행이고..  오래도록 유용하게 쓰고는 있지만 아픈 기억이기도 합니다.
fabiano 2010.11.17 20:45  
60년대, 통학하면서 많이 이용하였고 서울 갈적에도... 경부선 김천-대전간에 터널이 많아서 나오면 얼굴이 시커멓게 되어 서로 바라보고 웃은 기억도 있습니다.
fabiano 2010.11.17 20:47  
일제의 수탈을, 조선의 근대화를 위하여 건설했다고 포장美化하고 잇습니다. 역사의 아이러니입니다.
도돌돌 2010.11.18 11:28  
시작은 식민지의 수탈목적이었으나 이제는 우리의 기술로 많이 발전했습니다.
with 2010.11.18 17:21  
한 폭의 수묵화 같습니다.안녕하시지요?
fabiano 2010.11.18 22:23  
경부선 가까이에 살아서 늘, 그 시절의 추억이.... KTX를 타보니 과연 격세지감을 느끼는 우리의 기술과 발전상에 감탄을 합니다.
fabiano 2010.11.18 22:25  
내 기억의 한쪽엔 언제나 칙칙폭폭~ 달리는 그 시절의 열차가 있습니다. 아직까지 건강하게 지내고 있습니다.
술람미 2010.11.21 06:45  
저도... 위드님과 같이 안녕하시지요?
fabiano 2010.11.21 15:26  
동에 번쩍, 서에 번쩍...하시네요. 워낙, 건강하신 술람미님이신지라... 덕분에 별 탈없습니다. 감사하나이다.
기술자 2011.03.05 14:51  
기술 한가지 똑똑하게 갖고 있으면 먹고사는건 예나 지금이나 같지요.
fabiano 2011.03.05 17:38  
조선시대 말엽, 쇄국정책으로 인하여 서양문물을 모르고 세계정세에 어두웠던 탓으로 갖가지 기술에 대한 의미도 몰랐던 탓이었습니다.
나그네 2012.04.21 10:02  
저건 사람타는 기차인데... 화물칸이 없잖아.
fabiano 2012.04.21 10:39  
화물을 운반하는 화물열차가 별도로 있었슴.
Hot

인기 [퍼온글] 장충공원을 달리는 蒸氣機關車의 모습

댓글 0 | 조회 1,805
Hot
Hot

인기 추억의 국민학교 졸업식(동영상)

댓글 3 | 조회 1,852
Category
State
  • 현재 접속자 74 명
  • 오늘 방문자 4,013 명
  • 어제 방문자 5,436 명
  • 최대 방문자 14,619 명
  • 전체 방문자 1,416,896 명
  • 전체 게시물 10,948 개
  • 전체 댓글수 35,462 개
  • 전체 회원수 72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