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site-verification: naverf83ad7df1bcc827c523456dbbc661233.html 6.25 전쟁 발발과 과정
홈 > 블로그 > 내 블로그
내 블로그

6.25 전쟁 발발과 과정

fabiano 0 1076  

1514978100920930.jpg


  1514978103133907.gif

6.25전쟁사입니다.

한국전쟁 1기

한국전쟁 2기

한국전쟁 3기

북한의 기습남침
UN 북한에 대해 결의
드디어 서울 함락!
서울에서의 3일간
미국, 북한과 첫 전투
최초의 UN 군 결성
후퇴, 또 후퇴
낙동강 방어선

5000:1의 도박
인천상륙작전
서울로 돌아오다
북으로! 북으로!
거의 다 이긴 전쟁

중공군 도하
중공군 참전
핵사용도 가능하다!
흥남 철수 작전
1.4 후퇴
맥아더 해임
국제전이 된 한국전쟁
휴전협정


선생님 말씀!! 잘 듣기!

1514978126200032.gif 한국전쟁 1기 - 북한의 기습남침(1950. 6. 25)

1950년 6월 25일 일요일 새벽 4시, 고요한 새벽에 휴전선은 탱크소리와 총소리가 울려퍼졌습니다. 북한이 기습남침을 한 것이지요. 북한은 선전포고도 없이 공격을 한 것입니다.

이때까지 간간히 남한과 북한군의 무력충돌이 있었지만 이런 전면전은 생각치 못했습니다.

해방 후, 소련은 북한에 지속적으로 군수물자를 지원한 까닭에 북한은 남한과는 다른 아주 강력한 군사력을 가지게 되었지요. 바로 탱크와 따발총이었습니다. 반면 우리의 군대는 보잘 것 없었답니다.

미군이 우리에게 군수물자를 제공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이승만 대통령이 평소에 전쟁을 일이킨다는 말을 해왔기 때문입니다.

1514978134155843.jpg
남한을 향해 85mm 곡사포로
사격을 하는 북한군 포병(1950. 6. 25)

 


전쟁이 일어나기 하루 전날, 우리 군대는 대부분이 휴가를 가 있었습니다. 농번기에 농촌에 일손을 돕기 위해서지요. 그랬기 때문에 전쟁이 일어난 당시 우리 군대는 육탄 돌격으로 탱크를 막는 등 죽을을 각오하고 방어했지만 T-34 탱크를 막아내기에는 역부족이었습니다.

북한군은 먼저 옹진반도를 점령했고 이어서 서울의 관문인 의정부를 점령했습니다. 서울 점령이 코앞에 닥친 것입니다. 1514978141754763.gif


선생님 말씀!! 잘 듣기!

1514978126200032.gif 한국전쟁 1기 - UN 북한에 대해 결의(1950. 6. 28)

북한군의 남침기습을 알리는 뉴스는 전 세계에 발로 알려졌습니다. 전세계는 제2차세계대전이 끝난지 5년도 안되 전쟁이 일어나자 경악하였습니다.

UN 안전보장이사회는 바로 열렸고, 안전보장이사회는 북한군이 즉각 적대 행위를 중지하고 군대를 38도선 이북으로 철수할 것을 요첨하였습니다. 또, 가맹국에 대해 UN 의 활동을 돕고 아울러 북한에 대한 원조를 하지 말도록 하는 결의안을 채택하였습니다.

한편 북한은 UN 의 결의에도 불구하고 계속 남진하였으며 서울점령을 눈앞에 두고 있었습니

1514978165190456.jpgUN 안전보장이사회의 참전 결의 장면(1950. 6. 28)

 

다.

우리는 UN 안전보장이사회에 더 강력한 조치를 부탁했고, UN은 철수안을 무시한 북한에게 한반도의 평화를 회복하기 위한 원조를 대한민국에 제공한다는 새로운 결의안을 채택하였습니다.

이렇게 되서 미국은 한반도에 군대파견을 결정하였고, 트루먼 대통령은 즉시 일본 도쿄의 미 극동군 사령관인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에게 대한민국에 대한 해군, 공군 지원을 명령했습니다.  1514978141754763.gif


선생님 말씀!! 잘 듣기!

1514978126200032.gif 한국전쟁 1기 - 드디어 서울 함락!(1950. 6. 28)

1950년 6월 28일 해질 무렵, 서울 외각에 위치한 우리의 미아리 방어선에 북한군이 T-34 전차 10대를 앞세우고 쳐들어왔습니다. 우리는 이것을 격퇴했지만 다시 벌어진 두 번째 전투에서는 패배해서 방어선이 무너졌습니다. 북한군은 이젠 서울로 걸어들어갈 일만 남은 셈이지요. 이때가 28일 새벽 1시였습니다.

새벽 2시 28쯤, 비가 내리면서 어둠이 가득한 한강에서 두 번의 폭발음이 들렸습니다. 그 빛은 주위를 환하게 만들었습니다. 바로 한강철교를 폭파한 것입니다. 약 1000명의 피난민이 한강을 건너다가 사망했고, 남쪽으로 후퇴하는 군대도 건너가지 못하고 말았습니다.

1514978195284126.jpg
서울시가지에 집입하는 북한군 탱크부대(1950. 6. 28)


우리 군대는 한강의 다리를 폭파함으로써 북한의 진격을 한강에서 저지하려는 시도를 하였지만 이 폭파로 인하여 미처 피난을 떠나지 못한 대부분의 서울 시민이 서울에 갇혔습니다.

새벽 5시, 전쟁이 일어난지 4일만에 서울은 북한군에게 점령을 당했고, 11시 30분에는 북한군의 서울 점령을 선언했습니다. 그리고 우리 군대는 뿔뿔히 흩어져서 군대로서의 의미조차 갖지 못했죠.

지도를 보면 많은 땅을 빼앗긴 것은 아니지만 500년 가까이 우리의 중심지였던 서울을 빼앗겼다는 것만으로 국민들은 이젠 한국은 끝났구나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1514978141754763.gif


선생님 말씀!! 잘 듣기!

1514978126200032.gif 한국전쟁 1기 - 서울에서의 3일간 (1950. 6. 29 - 7. 2)

북한군은 서울을 점령한 후 3일간 아무런 움직임을 보이지 않았습니다. 북한의 예상 밖으로 한국군이 춘천과 홍천 등 동부전선에서 북한군의 남하를 잘 막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우리 군대의 최초의 승리지요!

어쨌건 이런 이유로 3일간 북한군의 남하가 늦어지자 우리군은 전열을 다시 가다듬을 시간을 갖게 된 겁니다. 맥아더 장군도 전선을 시찰하면서 작전을 구상했습니다.

맥아더 장군의 시찰은 우리 군의 사기를 높혀주었고 우리 군도 참모총장을 정일권으로 임명하였습니다.  1514978141754763.gif

1514978234498179.jpg
전선을 시찰중인 맥아더 장군


선생님 말씀!! 잘 듣기!

1514978126200032.gif 한국전쟁 1기 - 미국, 북한과 첫 전투 (1950. 7. 5)

1950년 6월 30일, 북한군은 3일간의 정적을 깨고 다시 진격을 시작했습니다.

한편 29일 한국을 방문하고 전선을 시찰했던 맥아더 장군은 미국에 지상군 투입을 요청했고, 30일 트루먼 대통령은 한국에 지상군 투입을 명령하였습니다. 그래서 다음 날인 7월 1일에 부산에 미국의 스미스부대가 도착한 것입니다.

미군은 그 당시에도 세계 최강의 전력을 가지고 있는 나라였습니다. 그래서 미군은 북한군이 자신들을 보기만 해도 도망칠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스미스부대에게 남은 것은 패배밖에 없었습니다. 540명중 150명의 전사자와 행방불명자를 냈고, 72명은 포로가 되었습니다.  1514978141754763.gif

1514978264594964.jpg
오산전투에 투입되기 위해 행군중인
스미스 특수임무 부대원 (1950. 7. 4)


선생님 말씀!! 잘 듣기!

1514978126200032.gif 한국전쟁 1기 - 최초의 UN 군 결성 (1950. 7. 7)

1514978288838006.jpg
UN 참전국들의 국기 사열 (1950. 7. 7)

1950년 7월 7일, 영국과 프랑스는 공동으로 UN 군 사령부를 설치할 것을 건의하고, 이것이 가결되어 UN 은 최초의 군사 지휘기구를 설치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UN 회원국들의 군사적 원조도 미국 지휘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는 결의안도 가결하였습니다. 이것이 바로 최초의 UN 군입니다.

1514978295793388.jpgUN 기를 수여받는 맥아더 장군 (1950. 7. 7)

이에 따라, 미국 극동군 사령관인 맥아더 장군이 유엔군 사령관에 임명되었고 14일 그는 한국군의 작전 지휘권도 넘겨받게 됩니다. 이로써 그는 미군, 한국군, UN군의 총 지휘자가 되었습니다. 총 16개국이 한국에 대해 전투 부대의 파병을, 5개국이 의료 혹은 시설 지원을 하겠다는 뜻을 유엔에 통보하였고 이에 따라 유엔군은 한국에 지상군 1개 군, 2개 군단, 9개 사단, 3개 여단, 8개 보병대대와 그 지원 부대들을 지원하였으며 총 병력은 34만 1000여명에 이르렀습니다. 그리고 해군은 2개 기동함대, 공군은 3개군의 전력이 동원되었습니다.   1514978141754763.gif


선생님 말씀!! 잘 듣기!

1514978126200032.gif 한국전쟁 1기 - 후퇴, 또 후퇴 (1950. 7. 20 대전)

미군이 지상군을 투입하고, UN 군도 지원을 시작했지만 전세는 불리했습니다.

미군은 죽미령, 천안, 금강 방어선에서 계속 북한군에게 패해 후퇴를 계속하였고, 대전에서 북한군과 격렬한 전투를 벌였습니다.
하지만 이런 격렬한 전투에도 불구하고 제24단장이 포로로 잡히면서 대전마저 북한군에게 내어주고 말았지요.

반면 우리 군이 담당하고 있던 중부, 동부 전선은 상황이 달랐습니다. 우리 군은 미군보다 정신력이 강했습니다. 아무래도 우리 땅은 우리가 지킨다는 정신이 앞서서겠지요?

비록 군장비면에서는 북한군보다 훨씬 열세였지만 이런 어려움 속에서도 기회만 있으면 공

1514978326516357.jpg
대전전투에서 처음으로 3.5인치 로켓포를 사용하여
적전차를 파괴시키는 장면 (1950. 7. 20)


1514978334518925.jpg
대전에 진입하는 북한군(1950. 7. 20)


격적인 작전을 감행하여 북한군에 막대한 타격을 입혔습니다.

특히, 동락리 전투에서는 북한군 1개 연대를 격파하는 전과를 거두었는데, 이때 노획한 무기가 모두 소련에서 제작된 신제품임을 확인하고, 이것으로 소련군이 북한군에 막대한 지원을 했다는 증거를 잡아낸 것이지요.

어쨌건 대전전투에서 사단장이 잡히기도 했지만 북한군 제3사단의 대전점령시간을 지연시킴으로써 아군이 차후 방어선을 구축하는 데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간을 제공하였습니다.   1514978141754763.gif 


선생님 말씀!! 잘 듣기!

1514978126200032.gif 한국전쟁 1기 - 낙동강 방어선 (1950. 7. 25 - 9. 15)

금강전선과 대전이 점령당한 후 병력이 거의 없었던 전라도 지방도 쉽게 북한군에 의해 점령되었습니다. 대구에 있던 수도도 부산으로 급히 이전하였으며 이젠 대한 민국은 한반도의 끝에 위치한 부산을 중심으로 아주 작은 땅을 최후의 결전장으로 사투를 벌여야했습니다.

당시 미 제8군 사령관은 낙동강을 따라서 방어선을 설정하고, 미국 장병들에게 "더 이상의 후퇴는 있을 수 없으며 이제는 더 물러설 수 있는 곳도 없다. 우리는 죽기 아니면 살기로 목숨을 걸고 싸워야 한다"고 연설했습니다.

정말 더 이상 물러설 곳이 없는 절박한 상황이었습니다.

1950년 여름, 불볕더위 아래서 북한군과 한국군, 미군, UN 군은 한치의 땅을 두고 뺏고 빼앗기는 전투를 계속하고 있었습니다.

모자라는 병력을 채우기 위해 어린 학생들까지 전선으로 토입되었습니다. 낙동강의 물은 병사들의 피로 붉게

1514978365196083.jpg낙동강 유역의 피난민들이 안전한 미군지역
으로 건너기 위해 대기하는 모습 (1950. 8)


1514978372510382.jpg
북한군 집결지인 왜관에 폭격을 실시, 이때 폭
탄의 양은 960톤이나 되었다고 함(1950. 8. 16)


물들었고 곳곳에서는 총포소리와 비명소리가 울려 퍼지는 비참한 상황이 계속되었습니다.

공군의 지원이 없었다면 낙동강 방어선을 지키기는 어려웠을 것입니다. 미공군은 어떤 때는 대폭격기를 오키나와에서 백대 가까이 가져와 낙동강에 폭탄을 쏟아 부었고 이로 인해 북한군은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

그리고 지상군의 전투가 있을 때면 언제나 2대 이상의 비행기가 떠서 지원을 해주었습니다. 이러한 공군의 지원 때문에 북한군의 공격은 크게 둔화되었습니다.

8월부터 9월 중순까지 낙동강 전선은 점점 좁아졌고, 한때 미군은 일본으로 철수하려는 계획을 세울만큼 급박했지만 9월부터 상황이 호전됨에 따라 한숨 돌릴 수 있었습니다.   1514978141754763.gif 


선생님 말씀!! 잘 듣기!

1514978126200032.gif 한국전쟁 2기 - 5000 : 1의 도박 (1950. 8. 28)

모두들 낙동강을 지키는데 전념하고 있을 무렵, 맥아더 장군은 크로마이트 작전을 완성하는데 노력을 다하고 있었습니다. 크로마이트 작전은 북한의 허를 찌르고 전세를 단숨에 역전시키기 위한 과감한 작전으로 한반도의 중간부분에 위치한 인천에 기습 상륙하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합동참모 본부는 반대를 하였습니다. 상륙지인 인천은 조수의 간만의 차가 큰 지역이라는 것이 이유였습니다. 조수간만의 차가 커서 상륙 시간을 맞추기가 어렵고, 더욱이 낙동강 방어선의 상태가 위태로운데 낙동강에서 군대를 빼내어 병사를 투입하는 것은 모험이 아닐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맥아더 장군은 이 작전이 성공할 것이라고 굳게 확신하고 있었습니다. 인천이 서울에서 32km밖에 떨어져 있지 않아 탈환하기도 좋고, 서울을 탈환하면 군에게 미치는 심리적 영향을 막대할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또, 북한군 전력의 대부분이 낙동강에 집중 배치되어 있어서 방비가 허술할 것이고, 상륙조건이 최악이기 때문에 방심하고 있을 것이라 예상했습니다.

결국, 함동 참모 본부는 이 작전을 조건부 승인해주었습니다. 그 조건은 군산이 어떠냐는 것이었습니다. 어쨌건 전세를 역전할 기회를 얻은 셈이지요.  1514978141754763.gif


선생님 말씀!! 잘 듣기!

1514978126200032.gif 한국전쟁 2기 - 인천상륙작전 (1950. 9. 15 인천)

드디어, 9월 15일! 엄청난 선단이 인천 앞바다에 그 장엄한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지상군 75000명, 함선 261척의 대규모 상륙부대는 제주도 아래에서 서해를 북상해 왔습니다. 이에 앞서 미국 첩보부대가 인천에 먼저 들어와 인천의 상황을 사령부에 보내주었습니다.

새벽 2시. UN 군은 첫 번째 목표로 월미도를 공격하기 위해 인천 앞바다에 정렬했습니다.
새벽 6시 31분. 드디어 월미도에 상륙하였습니다. 이것은 계획보다 1분 늦은 시각이었습니다. 곧 이어 인천 앞바다에 있던 함선들의 함포에서는 불을 뿜기 시작했습니

1514978427581065.jpg
인천상륙작전 (1950. 9. 15)


1514978435352268.jpg1514978443453440.jpg
UN 군과 연합여 인천에 상륙하는 한국 해병대(1950. 9. 15)


다. 월미도는 화약냄새로 가득찼고 UN 군은 월미도로 진입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UN 군에게 허를 찔린 북한군은 반격이 거의 없었습니다.

아침 8시. UN 군은 월미도를 완전히 점령할 수 있었습니다.

15일 밤. 인천 시내에서는 한동안 맹렬한 시가전이 있었습니다.

16일 새벽. 북한군은 전


세가 불리해지자 후퇴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인천상륙작전 과정에서 UN 군의 사망자는 20명, 부상자는 174명뿐이었지만, 북한군은 1400명의 사상자를 냈습니다. 완벽한 승리였습니다.

18일. 미국 해병대는 한반도의 최고의 공한 김포 공항을 점령했고, 일본에서 대기중이던 비행기들이 김포공항으로 이동했습니다. 지금까지 비행기들이 한반도의 공중 지원을 위해서는 일본에서 날아와야했지만 이제 김포공항을 얻음으로써 많은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1514978141754763.gif 


선생님 말씀!! 잘 듣기!

1514978126200032.gif 한국전쟁 2기 - 서울로 돌아오다 (1950. 9. 16 - 30)

낙동강 방어선을 지키고 있던 워커는 인천상륙작전 직후 낙동강 전선을 뚫고 북진하기 시작했습니다. 북한군은 서울을 빼앗겼다는 소식을 듣고 사기가 급속도로 떨어졌고 재빨리 후퇴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미군은 777부대라는 특수임무부대를 만들어 다른 부대보다 먼저 서울로 진격하게 하였고, 26일에는 인천에 상륙했던 부대의 일부와 오산에서 만났습니다.

26일. 연합군은 약 10일 동안의 격렬한 전투끝에 서울을 탈환했습니다. 이승만 대통령과 맥아더 UN 군 사령관이 참석한 가운데 성대한 행사가 열렸고 한국 정부도 부산에서 서울로 다시 옮겼습니다.

이승만 대통령은 감격해서 말문을 쉽게 열지 못했지만 서울을 되찾도록 열심히 싸운 UN 군과 한국군 모두를 치하했습니다. 모든 국민들도 다시 서울로 돌아온 이승만 대통령을 환영해 주었습니다.

하지만 서울의 모습은 폐허였습니다. 특히 잔인한 것은 곳곳에 널려있는 시체였습니다. 북한군이 서울에 있는 동안 그들에게 반항하는 많은 사람들을 총살시켰던 것입니다.  1514978141754763.gif

1514978481235346.jpg
중앙청에 태극기를 게양하는
한국해병 제2대대 장병들 (1950. 9. 28)


선생님 말씀!! 잘 듣기!

1514978126200032.gif 한국전쟁 2기 - 북으로! 북으로! (1950. 10. 1)

인천상륙작전으로 전쟁은 다시 원점으로 돌아왔습니다. 연합군은 38도선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한가지 문제가 있었습니다. UN 군 총사령관인 맥아더 장군과 이승만 대통령은 38도선을 넘어 통일을 이룩하자고 주장했고, UN 군은 이 상태에서 멈추자고 주장한 것입니다.

여하튼 여러 가지 우여곡절 끝에 1950년 10월 1일 강원도 양양에서 한국군은 38도선을 넘어 북쪽으로 진격하였고, 이튿날인 10월 2일엔 UN 군도 북으로 진격하였습니다.

1514978505730310.jpg
양양에서 최초로 38도선을 돌파하면서 기념
표지판을 세우는 제3사단 장병들(1950. 10. 1)

또, 맥아더 장군은 북한에게 항복할 것을 최후 통첩하였으나, 이미 중공은 움직이기 시작했습니다. 중공은 UN 군이 북쪽으로 넘어올 경우 한국 전쟁에 개입한다고 UN 군에 경고했습니다.

중공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UN 군은 북진을 허가했습니다. 1514978141754763.gif


선생님 말씀!! 잘 듣기!

1514978126200032.gif 한국전쟁 2기 - 거의 다 이긴 전쟁 (1950. 10. 26)

1514978537784350.jpg
제6사단 7연대 병사가 압록강 물을
수통에 담고 있다(1950. 10. 26)

오늘 서부전선의 한국군이 가장 먼저 한반도 꼭대기에 있는 압록강에 도착하였습니다. 곧이어 11월에는 동부전선의 미군도 압록강에 도착하였습니다. 압록강은 한반도의 북쪽 끝에 있는 강으로 이 강의 반대편은 중국이었습니다. 그들은 이제 전쟁이 끝났다고 생각했습니다.

유엔군과 한국군은 압록강에 그리 힘을 들이지 않고 올 수 있었습니다. 38도선을 넘은지 보름만에 북한의 수도인 평양을 점령했고 곧이어 항구 도시인 원산을 점령할 수 있었습니다. 25일에는 미군이 중공군으로 보이는 적으로 부터 공격을 받았지만 그들은 그것을 심각한 것으로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한국군과 UN 군은 이젠 전쟁이 얼마 남지 않았다고 생각했습니다.  1514978141754763.gif


선생님 말씀!! 잘 듣기!

1514978126200032.gif 한국전쟁 3기 - 중공군 도하 (1950. 10. 19)

맥아더 장군은 중공은 한국전쟁에 참전하지 않을 것이라고 확신을 하였습니다. 하지만 이 확신후 단지 사흘 후에 중공군은 압록강을 들어오자마자 산속으로 자취를 감추었기 때문에 UN 군은 중공군이 한반도에 들어오는 것을 전혀 눈치챌 수 없었던 것입니다.

이때 UN 군은 북한의 수도인 평양과 함경남도 도청소재지인 함흥을 막 점령하고 있었습니다. 이는 북한의 대부분이 UN 군에게 점령되었을 때, 중공군의 개입니 시작되었음을 뜻합니다.1514978141754763.gif

1514978575585237.jpg
전면공세를 펼치기 위해 한만 국경을 넘어서는
중공군 제40야전군(1950. 10)


선생님 말씀!! 잘 듣기!

1514978126200032.gif 한국전쟁 3기 - 중공군 참전 (1950. 11. 2)

11월 1일 서부전선에서 중공군은 본격적인 공격을 감행했습니다. 이어 2일에는 한국전쟁에 중공군이 참전하였음을 공식적으로 발표했습니다.

중공군의 공격으로 UN 군은 큰 타격을 받았습니다. 중공군은 북한군과는 발랐습니다. 특히, 중공군은 낮에는 숨어있다가 밤에만 공격을 하였고 진군할 때는 언제나 나팔을 불거나 징을 치면서 시끄러운 소리를 내었습니다. 산에 불을 내어 연기를 냈기 때문에 비행기의 공습도 효과가 없었습니다.

한편 하늘에서는 소련에서 제작된 미그15기가 출현하여 공군을 이용한 공격도 어려워졌습니다.

1514978598978330.jpg
밀려오는 중공군에 대항하여
고지를 사수하는 국군(1950. 11)


11월 하순에는 동부전선에서도 중공군의 공격이 시작되었습니다. 미군은 2가지 적이 있었습니다. 중공군과 살인적인 추위였습니다. .1514978141754763.gif


선생님 말씀!! 잘 듣기!

1514978126200032.gif 한국전쟁 3기 - 핵사용도 가능하다 (1950. 11. 30)

중공군이 한국 전쟁에 참전하고, 그 결과로 미국이 완패하고 있다는 소식을 들은 트루먼 대통령은 11월 30일 기자회견에서 한국 전쟁에서 원자 폭탄이 사용될 수 있다는 암시적인 발언을 함으로써 세계를 놀라게 하였습니다.  덧붙여 트루먼 대통령은 원자 폭탄을 사용할 때 UN 의 승인을 기다리지도 않을 것이며 의존하지도 않겠다고 말했습니다.

반면, 중공이 한국전쟁에 참전하자 UN 의 많은 나라들은 한국전쟁이 제 3차 대전으로 번질까 두려워 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UN 의 많은 나라들은 휴전을 제안하였습니다.

트루먼 대통령이 원자 폭탄을 사용할 수도 있다는 말을 들은 영국의 애틀리 총리는 황급히 워싱턴으로 날아갔습니다. 애틀리는 트루먼 대통령에게 중공과 협상을 하자고 설득했지만, 트루먼 대통령은 오히려 강력 대응을 주장했습니다.

이처럼 미국과 영국의 견해가 대립되고 있을 무렵인, 12월 5일 중공군은 수도 평양을 점령했고 UN 군은 계속 후퇴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UN 군이 북쪽으로 진격한지 두 달이 채 되지 않아 전세는 다시 역전 된 것입니다.

맥아더 장군 역시 중공의 참전에 대해 미국이 강력 대응할 것을 주장하였습니다. 첫째, 미 해군은 중공의 해안을 봉쇄하고 둘재, 중공 본토를 폭격하며 셋째, 대만에 있는 장개석 군대를 참전시키고 넷째, 원자탄 사용도 고려할 것이 그것이었습니다.

트루먼 대통령은 맥아더의 이런 의견을 수용하여 최종 결정을 내렸습니다. 최종 결정은 결사 항전이었습니다. 이에 따라 며칠 뒤, 트루먼 대통령은 비상 사태를 선포하고, 국방력을 강화하겠다는 내용을 발표하였습니다.

하지만 다행히 애틀리 총리의 노력으로 트루먼 대통령은 핵을 사용하지 않겠다고 약속했습니다.1514978141754763.gif


선생님 말씀!! 잘 듣기!

1514978126200032.gif 한국전쟁 3기 - 흥남 철수 작전 (1950. 12. 24)

한편, 중공군의 포위망을 뚫고 흥남으로 모인 UN 군과 한국군 부대들은 안전하게 철수하기 위해서 흥남 주위에 방어진지를 구축했습니다.

함흥을 비롯한 주변 지역은 모두 중공군에게 포위를 당했기 때문에 배를 타고 안전한 지역으로 철수해야만 했습니다.

그런데 주민들이 타고 갈 배는 턱없이 부족했습니다. 이 때 한국인 고문관으로 있던 현봉학이 알몬드 사령관에게 피난민들이 여기 남는다면 중공군에게 분명히 몰살당할 것이라고 설득하였습니다.

하지만 알몬드 사령관은 이 부탁을 거절하였습

1514978652789117.jpg
중공군을 피해 피난을 가는 주민들(1950. 12)

니다. 현봉학은 고민끝에 하니대령과 함께 LST등 여러 군용 함선에 여유공간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다시 알몬드 사령관에게 부탁했습니다.

결국 알몬드 사령관은 이 제안을 수락했고 피난을 성공적으로 마쳤습니다. 이 피난민 계획을 끝까지 추진한 현봉학을 한국판 쉰들러 리스트라고 부릅니다.  1514978141754763.gif


선생님 말씀!! 잘 듣기!

1514978126200032.gif 한국전쟁 3기 - 1.4후퇴 (1951. 1. 4)

흥남철수 작전이 성공할 무렵, 서부전선은 중공군에게 38선까지 밀렸습니다. 그리고, 크리스마스를 이틀 앞둔 날, 제 8군 사령관 워커가 교통사고로 사망했습니다.

위커의 후임으로 리지웨이가 임명되었고 그는 곧바로 전선으로 날아왔습니다. 1951년에 접어들면서 중공군의 공격은 더욱 거세졌고, 곧 서울이 함락당할 것이라는 소문이 퍼지자 서울시민 대부분 피난길에 올랐습니다.

리지웨이 사령관도 남쪽으로 후퇴결정을 하고 금강까지 후퇴하였습니다.

1514978683590365.jpg
1. 4 후퇴(1951. 1. 4)

한편, UN 공군은 계속해서 보급로를 공격하였고 그로 인해 공산군은 공격을 멈출 수밖에 없었습니다. 리지웨이는 시간을 얻었고 그 동안 흩어진 전선을 재정비하였습니다.

전선이 재정비되자 다시 전투가 시작되었습니다. 리지웨이는 막강한 화력으로 인해전술에 맞섰습니다. 리지웨이는 북한의 보급원을 끓기 위해 북한의 공장지대와 평양, 원산에 폭탄을 퍼부어댔습니다. 이어 1월달에는 수원까지 진출하는 성과를 이루었습니다. 1514978141754763.gif


선생님 말씀!! 잘 듣기!

1514978126200032.gif 한국전쟁 3기 - 맥아더 해임 (1951. 4. 11)

1514978714785044.jpg

전세가 다시 유리해짐에따라 미국은 한국전쟁을 어떻게 매듭지어야 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에 들어갔습니다. 이승만 대통령과 맥아더 장군 그리고 합동 참모 본부는 전쟁을 확대하자고 주장했습니다. 전쟁이 중간에 다면 다시 전쟁이 일어날 것이라는 것 때문이었습니다.

하지만 한국전쟁에 참전한 UN의 국가들은 휴전을 강력히 주장했습니다. 그들은 더이상 희생을 원치 않았고 한국전쟁이 세계 대전으로 발전하는 것을 두려워 했습니다. 그들은 미국이 38도선을 넘어 진격할 경우 한국에서 철수하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3월 15일 UN군은 서울을 다시 점령하였고 전세는 계속 UN군 쪽으로 기울었습니다. 전쟁이 유리해지자 UN의 휴전 압력은 더욱 거세졌고, 결국 미국은 중공과 협상을 통해 휴전을 하기로 결정했습니다. 3월 20일 이 소식을 들은 맥아더 장군은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며칠 뒤, 맥아더는 정부와는 한 마디의 협의도 없이 중공의 신경을 건드릴만한 성명을 발표하고 중공군 사령관에게 휴전 협상을 제안했습니다. 이와 함께 트루먼 정부의 정책을 날카롭게 비판하였습니다.

트루먼 대통령은 이러한 맥아더의 행동에 격분하여 4월 11일 그를 해임시켰습니다. 1514978141754763.gif


선생님 말씀!! 잘 듣기!

1514978126200032.gif 한국전쟁 3기 - 국제전이 된 한국전쟁

51년 여름 무렵, 유엔 참전국으로 한국에 파견된 여러 나라의 군대들이 본격적으로 전선에 투입되었습니다.

유엔군으로서 한국에 전투 부대를 파견한 나라는 미국,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네덜란드, 캐나다, 뉴질랜드, 프랑스, 필리핀,터키, 타이, 그리스, 남아프리카 공화국,벨기에-룩셈부르크, 콜롬비아 그리고 이디오피아 모두 16개국 입니다.

또, 5개국 , 스웨덴, 인도, 덴마크, 노르웨이 그리고 이탈리아, 이 의료 지원을 하였습니다. 비UN국으로 일본은 비밀리에 해군을 참전시켰습니다. 또, 공산측은 소련과 중국이 개입하였습니다.

그리고 이 전쟁의 주인공인 대한민국과 북한을 합쳐 모두 25개국이 이 전쟁에 관련되어 있었습니다.

처음에는 남한과 북한의 내전적 성격이 짙었지만 냉전의 소용돌이 속에서 이제는 국제전 성격을 띄고 있습니다.

한반도는 마치 이들에게 전쟁터를 빌려주는 것으로 보였습니다.  1514978141754763.gif


0 Comments
Hot

인기 Oldman Face

댓글 0 | 조회 1,077
Hot

인기 Baby & Dog

댓글 2 | 조회 1,077
Category
State
  • 현재 접속자 260 명
  • 오늘 방문자 14,472 명
  • 어제 방문자 15,226 명
  • 최대 방문자 15,226 명
  • 전체 방문자 1,613,834 명
  • 전체 게시물 10,948 개
  • 전체 댓글수 35,463 개
  • 전체 회원수 74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