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site-verification: naverf83ad7df1bcc827c523456dbbc661233.html 아무도 승리하지 못한 전쟁 - 월남전쟁
홈 > 블로그 > 내 블로그 > History & Photo
내 블로그

아무도 승리하지 못한 전쟁 - 월남전쟁

fabiano 0 2943  

1514974048720738.jpg
 
                      Saigon市는 오늘날, Ho Chi Min市로 바뀌었다.

1514974049641763.jpg

월남 공군의 T-28기가 미군 파일럿을 따라서 베트콩 주둔지에 네이팜탄을 투하하고 있다.
1962년 베트콩의 은거지로 예상되는 지역에 네이팜탄이 투하되었다.

1514974053653309.jpg

UH-1 휴이 헬리콥터가 사이공으로 부터 북쪽 30마일 떨어진 지점으로 이동하고 있다.

1514974054669900.jpg

병사들이 내린 후, 헬리콥터가 신속하게 이동하고 있다.

1514974055981364.jpg

사이공 남쪽의 베트콩 은신처에 네이팜탄을 투하하고 있다.  (1965 )

1514974056292228.jpg

 DMZ 남쪽의 월맹군의 공격에 대비하며 경계하며 전진하는 美 해병대.
 (1966)

1514974057522328.jpg

" Hanoi Hilton " 이라고 불리워진 하노이의 월맹軍 포로 수용소의 모습이다.
(백색 선으로 둘러싸인부분)

1514974060851169.jpg

B-52 폭격기가 월맹군의 활동지역에 " 폭탄의 비 " 를 퍼붓고 있다.

1514974062460913.jpg.

B-52 폭격기가 착륙을 하던 도중 사고가 났다..

1514974064886036.jpg .

휴이 헬리콥터가 이륙을 준비하고 있다..

1514974067438961.jpg.

호주軍 병사들의 수색정찰 모습이다..

1514974071954036.jpg.

폭격기 편대가 지나간 후의 모습이다. .

1514974075278075.jpg

월남軍 야전장교가 생포한 베트콩 포로를 심문하고 있다..

1514974077211024.JPG

월맹軍 병사가 벙커에서 저항하다 美軍 1 기병연대 병사들에개 생포되어 끌려나오고 있다. 1966년.

1514974079937187.jpg

1 기병연대의 의무兵인 Thomas Richmond의 부상당한 얼굴에서 흐르는 피가
그의 옷을 적시고 있다..

1514974082792047.jpg

자신도 부상당한 채, 동료를 보살피고 있는 Thomas Richmond.

1514974082344357.JPG

어린 베트콩 포로가 총소리를 듣고난후 울고 있다. 이 소년은 게릴라들의 연락병이였다 1966년..

1514974085535894.jpg

Yankey Papa ` 13 착륙지점에서 승무원장인 제임스 페널리가 그의 M-60 기관총을 조준하고 있다..

1514974086319854.jpg

   Camp `Khe Sanh`이 적의 공격을 받고 있다..

1514974089757585.jpg

  Robert Ellison이 순직한 후, 이초상화를 Newsweek 에서 출판하였다. (1968년) 
 ROBERT JACKSON ELLISON
Born: July 6, 1944 in Ames, Iowa 
Died: March 6, 1968 near Khe Sanh,  Vietnam  

1514974091206451.jpg

美 해병대 소속의 탄약 적재 트럭이 폭발하고 있다. (Khe Sanh)
이 사진은 Newsweek誌의 표지커버로 사용되었다.(1968년 3월 18일)

1514974093191012.jpg

1968년 3월 16일, 美軍에 의하여 사살당한 월남인들이다. ( My Lai 학살)

1514974095162515.jpg

My Lai 학살. (1968.3.16)
美軍들이 무장하지 않은 민간인들을 학살하였다.
이 사건으로 지휘관 William Kelly중위는 군법에 회부되어 유죄평결을 받았다.

1514974096223130.jpg

  부상당한 해병들이 헬기 착륙지점으로 이송되고 있다. 1966년.

1514974098440203.jpg

베트콩 포로를 심문하고 있다. .

1514974101350173.gif.

 분리된 바주카와 로켓을 들고 있는 射手의 모습이다.  John Wilson. 
  12일 후, John Wilson은 전사하였다.

1514974102147409.jpg.

북 월남 인근의 벤 투이 발전소의 폭격후 모습이다..

1514974104953190.jpg.

두명의 미군 병사가 사진을 찍기 위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1514974108350622.jpg

미군 장교가 수첩에 무언가를 받아 적고 있다..

1514974115823739.jpg.

 美 육군 보병소대가 작전에 투입되었다. 1966년 일요일..

1514974116324305.jpg.

 美 해병대가 남부 베트남으로 상륙하고 있다. 1966년..

1514974119971361.jpg.


 Milton L. Cooke 일병이 그의 M-60 기관총으로 적의 저격수가 있을만한 지점으로
조준을 하고 있다..

1514974121465503.jpg.

  5 기갑연대의 M48A3 戰車가 켄로강의 남쪽을 거슬러 올라가고 있다. 1968년..

1514974123877614.jpg.

9 연대가 베트남의 탄안 지역으로 이동하던 도중에 찍힌 눈물을 흘리는 병사의 모습이다..

1514974125641262.jpg.

875 고지 전투후에 찍힌 좌절한듯한 무전병의 모습이다..

1514974127446867.jpg.
수색-파괴 작전을 수행하고 있는 Green Beret의 모습이다. 1968년..

1514974129169843.jpg.

우산을 받쳐 들고 이동중인 장갑차 승무원의 모습이다..

1514974131163590.jpg .
M-60 기관총을 배치하고 있는 사수의 모습이다. 1967년.

1514974134298037.jpg

월남 군인과 시민이 베트콩의 기습으로 사살되었다. 1968년..

1514974136530757.jpg

美 해병대원들이 전차의 뒤로 엄폐를 취하고 있다. 1968년..

1514974139949626.jpg.

美 해병대원이 부상당한 동료병사를 돌보고 있다. 1966년..

1514974141636998.jpg.

베트콩 포로가 美 25보병대대의 북쪽에서 생포되었다. 1969년..

1514974143484793.jpg.

전쟁의 非情함.
죽어서 부패한 베트콩의 시체를 곁에 두고 해병대원이 주위를 살피고 있다..

1514974145227702.jpg.

미군 병사들이 적의 포격을 피해 황급하게 벙커안으로 들어가고 있다. 1968년.

1514974147748023.jpg

 월남의 치안책임자가 vietcong을 현장에서 즉결 처분하고 있다.
 AP의 이 사진은 세계적인 특종되었다.

1514974148421981.jpg.

베트남 어린이들이 월남 공군이 떨어뜨리고간 네이팜탄의 불길을 피해 도망가고 있다..

이들의 마을은 삽시간에 불태워졌다. 1972년.6.8.

1514974150919749.jpg.

 한 병사가 베트콩 가족을 생포하였다. 1968년..

1514974152992380.jpg.

로켓 공격을 받은 사이공의 주민들이 대피하고 있다. 1967년..

1514974155857875.jpg.

 戰死한 101 공정사단 병사들이 착용하였던 전투화와 헬멧 그리고 M-16의 모습이다..

1514974157239603.jpg.

월맹軍의 야전병원의 모습이다. .

1514974159749965.jpg.

월맹軍이 기관총 사격을 가하고 있다..

1514974160964327.jpg.

플레이쿠의 피난민 캠프의 아이들 모습이다. 1969년. 

 1514974161330616.gif

  St. Vincent de Paul 고아원을 찾아 修女, 美 여군이 고아들을 돌보고 있다.
                                                                                                       (1970. 6월)


1514974162812481.jpg.

교전이 끝난후, 부상자를 옮기기 위해 헬리콥터가 착륙하고 있다.. 
 
1514974164187457.jpeg.

프놈펜 시내에서 시신이 길가에 방치되어 있다..

1514974166670819.jpeg.

미군의 폭격으로 부상당한 민간인들의 모습이다..


1964년 7월 18일 파병을 시작하여 8년 8개월간 연인원 32만명이 참전하였던 한국軍은
1973년 철수와 동시에 고국으로 개선하면서 참전은 성공적으로 끝을 맺었다.
그러나 전쟁 기간 동안 5,000여명의 전사자와 16,000여명의 부상자
50,000여명의 枯葉劑 피해자를 발생시켰다. .

1514974166162655.jpg

월남에서 전사한 美軍의 시신을 하노이 공항으로 운구하고 있다.

1514974168234867.jpg

 이 可恐할 제초제는 아무런 생각없이 월남의 전역에 살포되었고, 뿌려졌다..

1514974171624010.jpg.

 제초제를 살포하는 보트와 바로 위를 통과하는 수송헬기의 모습이다..

1514974172413277.jpg.

  枯葉劑를 살포하는 미군機의 모습이다..

1514974173958606.jpg 

미국은 엄청난 물량과 희생을 치루었지만 결국 승리하지 못하고 월남은 패망하여.....
조국없는 난민들은 보트피플의 신세로 전락하였다.

승자도 패자도 없는 월남戰은 이미 종결되었다..

하지만 남은자들의 고통스러운 삶의 전쟁은 지금 이 순간에도 계속 되고 있다..
그 누구도 승리하지 못한 전쟁... 그것이 바로 월남戰이 아닐까?....



독고 탁의  < 추억과 영상 >에서...... 다소 수정했슴.
 
0 Comments
Hot

인기 일본의 목욕탕 문화 (1951년) - LIFE (1)

댓글 10 | 조회 2,701
Hot

인기 1960년대 - 파리(Paris)

댓글 0 | 조회 2,882
Hot
Category
State
  • 현재 접속자 1,021 명
  • 오늘 방문자 17,146 명
  • 어제 방문자 18,882 명
  • 최대 방문자 19,150 명
  • 전체 방문자 1,795,765 명
  • 전체 게시물 10,948 개
  • 전체 댓글수 35,463 개
  • 전체 회원수 74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