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site-verification: naverf83ad7df1bcc827c523456dbbc661233.html 8년 '참교육'의 결과···전교조와 그 제자들
홈 > 블로그 > 내 블로그 > 끄덕끄덕...
내 블로그

8년 '참교육'의 결과···전교조와 그 제자들

fabiano 0 1266  
전경웅 기자 2008-01-20 오후 5:09:59  
관련기사
- [정치]이명박 정부의 또 다른 약점, 안보 라인?(08/01/12)
- [기획/특집]관료주의 보호받는 권력의 공수부대 '공기업'(08/01/01)
- [기획/특집]‘코드 공수부대’ 문화-예술-언론 권력(07/12/25)
자칭 ‘시민단체’와 ‘인권단체’, ‘철밥통’이라고 조롱받던 공무원과 공기업 직원 등 이명박 정부를 가로막는 장애물들이 서서히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그러나 아직 드러나지 않는 장애물도 많다. 그 중 대표적인 장애물이 뭘까? 바로 학생들이다.
1515073017326862.jpg 
▲ 한 때 문제가 됐던 전교조의 통일수업교안 내용 중 일부. 이들의 교육 탓일까. 학생들은 북한보다는 일본, 미국이 우리나라를 침략할 가능성이 더욱 높다고 생각한다. 
지난 99년 7월 김대중 정부는 그동안 불법단체로 규정했던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하 전교조)를 합법단체로 인정했다. 89년 출범한 후 ‘참교육’이라는 가치를 내세우며 많은 학생과 학부모들의 호감을 얻었던 전교조는 그러나 합법단체로 인정받으면서 전혀 다른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전교조 활동으로 해직된 교사들이 복직하고 한동안 ‘투쟁’이 사라지면서 학생과 학부모들은 뭔가 새로운 방향의 개혁이 이뤄질 것이라 기대했다. 그러나 7년이 지난 지금, 전교조는 학부모와 학생들이 가장 싫어하는 조직이 됐다.

지금은 그들이 내걸었던 ‘참교육’은 그 어느 곳에서도 찾아보기 어렵고, 교원평가제 반대, 한미FTA반대 등의 명분으로 연일 이어지는 투쟁과 시위 속에 아이들은 교실 속에 방치되고 있다.

‘좌파이익단체’ 전교조?

지난 7년 간 전교조는 ‘입시교육에 찌든 학생들에게 전인교육을 한다’는 명분으로 다양한 활동을 해왔다. 그러나 그 대부분은 타 노동단체 등과 연계하거나 학교 운영 부분에 대해 문제 삼은, 소위 ‘투쟁’이었다.

이들이 해온 ‘투쟁’에는 교원평가제 반대, 교원 성과급 차등지급 반대, 교장에 대한 재단 선임권한 반대,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 폐기 등 교육과 관련된 것과 한미 FTA 반대, 맥아더 동상 철거운동, 국가보안법 폐지운동 등 정치적인 활동이 포함돼 있다.

이 같은 활동과 함께 전교조는 학생들에게 소위 ‘통일교육’ ‘인권교육’을 시켜왔다. 6.25전쟁 전후 대한민국 군경과 양민을 학살했던 ‘빨치산’을 ‘애국통일열사’라고 가르치고, 한반도 분단과 양극화 현상 등의 책임이 미국과 대한민국 정부에 있다고 가르쳤다.

1515073018729996.jpg 
▲전교조 교사 1천여명이 2005년 10월 27일 서울 정부종합청사 앞에서 '교원평가반대 전국교사대회를 열고 교원평가제 철회를 촉구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이런 전교조의 활동에 많은 학부모들이 경악했으나 정부는 전교조를 감싸 돌았다.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가 이들에게 보여준 호의는 대단한 수준이었다. 2000년 5월 전교조 결성 11주년 기념식에는 문용린 당시 교육부 장관이 참석해 대통령 축사를 전했다.

노무현 정부는 출범 전부터 인수위 교육분과에 전교조 출신 인사들을 포함시켰다. 김진경 씨와 같은 전교조 간부 출신이 청와대 교육문화비서관이 되기도 했다. 교육혁신위원회, 교육부 등에도 전교조 출신들이 곳곳에 포진했다.

이들은 정부와 함께 ‘코드’를 맞춰 자신들에게 반대하는 사람이 각료에 임명되는 것도 막았다. 오명 건국대 총장이나 김우식 과기부 장관이 교육부 장관에 임명되지 못한 것도 전교조의 영향력 발휘라는 설이 파다했다. 이들이 청와대와 국회를 통해 교육 정책에 압력을 행사했다는 설도 있다.

반면, 아이들 교육에는 큰 관심이 없었다. 대표적인 게 바로 연가투쟁. 전교조 조합원들은 학생들의 입시 등에는 아랑곳없이 연가투쟁을 벌여왔다. 2000년부터 2006년까지만 모두 12번의 연가투쟁을 벌였다. 여유가 있는 집안 학생들은 사교육으로 몰려갔다. 그러나 사교육을 받기 어려운 학생들은 큰 피해를 입었다.

교육 권력자로 인정받는 전교조

실제 여러 지역을 돌며, 중고교생들에게 물어보면 전교조 소속 교사들의 수업 태도는 그리 좋은 편이 아니라고 입을 모았다. ‘투쟁’이 있으면 아이들에게 자율학습을 시키고 나가는 것은 물론 ‘전교조’ 조직을 믿고 교장, 교감에게도 함부로 행동하는 게 다반사라고 아이들은 전했다.

이런 전교조의 행태는 수년 전 충남의 한 학교 교장의 자살로 여실히 드러났다. 한 임시교사가 교감이 차를 타오라고 했다며 ‘남녀 차별’ 등을 운운, 전교조 지부를 통해 교장, 교감을 압박했다. 결국 해당 학교 교장은 이런 전교조의 행태에 자살했다.

이 뿐만이 아니다. ‘학교를 사랑하는 학부모 모임(이하 학사모)’은 지난 2004년 62명의 부적격 교사 명단을 발표했다. 제자 성추행, 폭행, 촌지 수수 등 나쁜 행동을 했던 교사들의 명단을 발표, 교육부에 해당 교사에 대한 해임을 촉구했다.

그런데 문제는 다른 곳에서 불거졌다. 전교조가 학사모 주요 지역 대표들을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한 것이다. 알고 보니 62명 중 58명이 전교조 조합원이었던 것이다. 여기에 놀란 건 오히려 학사모였다. ‘참교육’을 내건 전교조 교사들이 이럴 것이라고는 상상도 못한 것이었다. 이 싸움은 결국 법정으로 가게 됐고 3년이 넘는 법정 소송 끝에 2007년 12월 학사모가 승소했다.

1515073020949959.jpg 
▲ 일명 '바바리맨' 교사 해임을 촉구하는 우파 단체의 성명에 대응해 전교조가 발표한 성명서의 일부. '바바리맨' 교사는 학생들과 경찰관이 직접 목격했음에도 사실을 부정하며 '재단의 음모'라고 주장했다. 
더 황당한 일도 있었다. 2007년 3월 23일 서울 은평구 녹번동 노상에서 9명의 남녀 고교생 앞에서 자위행위를 하다 붙잡힌 중년 남성이 있었다. 문제의 남성은 ‘노상방뇨’였다고 주장하고 풀려났지만 다시 돌아와 경찰과 학생들 앞에서 자위행위를 하다 체포됐다. 문제는 그가 전교조 소속 교사였다는 점이다.

이런 일이 있었음에도 그는 학교에서 해임되지 않았다. 당시 그가 일하던 학교는 재단 문제로 전교조와 재단이 대립하고 있는 중이었다고 한다. 때문인지 학부모들의 항의에도 불구하고 그는 해임되지 않았다. 후에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전교조에 대한 비난 여론이 비등했다. 그럼에도 해당 교사와 전교조는 ‘재단 측의 음모’ 운운하며 교장을 압박하는 행태를 보였다.

이 같은 사례가 아니라도 지난 수 년 간 재단 비리 등을 빌미로 자신들의 이익을 극단적으로 추구했던 사례는 많다. 이에 많은 이들은 전교조를 하나의 권력집단으로 보고 있다.

‘참교육’과 일교조의 ‘유토리(餘裕)’ 교육

이런 전교조의 행태는 곧 아이들의 인성교육으로도 이어졌다. 전교조의 요구로 학교에서 체벌금지, 생활지도금지와 함께 전교조식 인권교육, 통일교육 등이 이뤄지면서 아이들의 태도도 점점 이상해졌다.

10대의 성적 문란, 폭력적인 집단 따돌림, 무단결석 등 수업 태도 불량은 부지기수로 늘어났다. 교사가 수업 중이어도 아이들은 거리낌 없이 교실을 들락거리는 일도 이제는 평범한 게 됐다. 일부 학교에서는 교내에서 집단 성폭행이 일어나거나 살인이 일어나기도 했다. 이런 문제를 제재하려는 교사는 학생들의 휴대전화가 무서워 뭐라고 말도 못한다.

교사들도 점점 이상해졌다. ‘투쟁’을 핑계로 수업을 빼먹는 교사들이 점점 늘어났다. 일부 교사들은 수업 시간에 수업은 가르치지 않고, 자신의 정치 이념이나 사회 비판, 통일 지상주의 등을 아이들에게 주입하는 데 더 열을 올렸다.

일부 교사는 초등학생에게까지 ‘화려한 휴가’ 영화를 보고 그 감상문을 적어내라는 수행평가 과제를 내주기도 했다. 그 때문일까. 때로는 중학생까지도 설익은 정치적 신념을 내세우며 인터넷에서 다른 사람들과 논쟁을 벌인다. 일부 아이들은 포털 사이트 등에서 학교에서 하던대로 댓글을 써대다 명예훼손으로 고발당하기도 했다.

1515073021681758.jpg 
▲ 국내 최대 포털 사이트 네이버 지식 in에서 볼 수 있는 '화려한 휴가' 수행평가 질문들. 영화 상영 당시에는 초등학생의 질문까지 있었다. 
상황이 점점 나빠지자 학부모들은 사교육에 열을 올리게 됐다. 사교육을 받을 형편이 못 되는 아이들은 사회 탓만 하며 더 겉돌게 됐다. 이런 모습에 일부 교육 전문가들은 ‘참교육’이 과거 일본교직원노조(이하 일교조)의 지속적인 주장으로 실시했다 실패한 일본의 ‘유토리(餘裕)’ 교육 폐해와 흡사하다고 지적한다.

치열한 입시에서 아이들을 해방하자는 취지로 2002년 도입된 일본의 ‘유토리(餘裕)’ 교육은 수업시간과 수업내용의 축소, 주입식 교육이 아닌 창의적 교육을 목표로 내걸었다.

아이들을 위한다며 원주율을 π나 3.14가 아닌, 3으로 가르친 ‘유토리(餘裕)’ 교육은 그러나 학습 의욕 저하, 기초 학력 저하, 응용력 저하 등의 문제를 가져왔다. 일본 발전의 원동력이던 과학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도 크게 낮아졌다. 결국 일본은 5년 만에 ‘유토리(餘裕)’ 교육의 실패를 인정하고, 수업시간을 늘리는 등 공교육을 강화했다.

이런 일본의 ‘유토리(餘裕)’ 교육이 우리나라의 ‘참교육’과 흡사하다는 것이다. 게다가 어린 학생들이 어설픈 정치의식 과잉에 빠져 현실보다는 명분에 더 집착한다는 지적까지 있다.

이명박 정부의 새로운 장애물, 성인이 된 청소년

그런데 문제는 이런 정치의식 과잉이 청소년 시기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특히 전교조 교사의 이념에 푹 빠진 학생들은 관성 때문에 성인이 되어서도 한동안 이념적 주장과 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다.

1515073023291156.jpg 
▲ 최근 학생들의 정치의식, 가치관, 세계관은 지나치게 편향되어 있다. 사진은 학생들이 '부시, 고이즈미 납치하다'라는 제목으로 인터넷 유머 게시판에 올린 사진. 이런 아이들에게 한·미·일 동맹을 설명하기란 쉽지 않다. 
특히, 일부 학생들은 전교조 교사를 축으로 그들을 떠받드는 학부모와 함께 극단적인 정치 행동을 계속 하기도 한다. 이들은 우파와 대한민국의 정체성, 동맹국에 대한 적개심을 그대로 품고 있다. 일부는 극우적 성향을 드러내기도 한다.

이런 학생들 중 상당수가 이명박 정부에서 성인이 된다. 이들이 성인이 되면 이명박 정부가 하는 일들에 대해 사사건건 반대할 가능성이 높다. 전교조의 세력이 작아진다 해도 성인이 된 청소년 스스로가 ‘신념’이라고 믿는 ‘의식’은 또 다른 문제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결국 이명박 정부가 이런 청소년들을 어떻게 포용하느냐, 정치이념 과잉으로 인한 사회적 갈등을 어떻게 해결하느냐가 미래의 장애물을 극복하는 데 관건이 될 것이다.

프리존뉴스 전경웅 기자(enoch@freezonenews.com)
 
 

[세상을 밝히는 자유언론-프리존뉴스/freezonenews.com]

0 Comments
Category
State
  • 현재 접속자 451 명
  • 오늘 방문자 2,395 명
  • 어제 방문자 18,562 명
  • 최대 방문자 18,562 명
  • 전체 방문자 1,706,536 명
  • 전체 게시물 10,948 개
  • 전체 댓글수 35,463 개
  • 전체 회원수 74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