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site-verification: naverf83ad7df1bcc827c523456dbbc661233.html 독도, 한국만 늘 당하는 이유는?
홈 > 블로그 > 내 블로그 > 뉴스 읽고 한마디
내 블로그

독도, 한국만 늘 당하는 이유는?

fabiano 0 1236  
2008년 7월 18일(금) 4:05 [매일경제]


지난해 5월 인하대 국제법센터 초청으로 한국을 찾은 미국 하와이대 존 반 다이크 법대 교수는 "독도 문제가 국제사법재판소에 제소된다면 재판부가 한국의 영유권 주장을 인정할 가능성이 훨씬 높다"고 말했다. 당시 참석자들은 "세계 석학들 모두 한국의 독도 영유권을 인정하는 주장을 한 것에 의미가 크다"고 자화자찬했다.

그러나 그로부터 1년 남짓 지나 일본의 영유권 주장 도발과 함께 세계 최대 인터넷 백과사전인 위키피디아를 비롯해 세계 곳곳의 도서관에서 '독도'라는 주제어는 점점 씨가 말라가고 있다. 우리끼리 토론하고 연구결과를 내놓으며 잔치를 벌이는 사이 일본은 전 세계를 무대로 암암리 '실속'을 골라 챙기고 있었던 셈이다.

세종대 일본어학과 호사카 유지 교수는 17일 "한국은 독도의 영유권을 주장할 수 있는 충분한 역사적 증빙자료가 있음에도 영어로 자료를 번역하는 일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당연히 우리 땅이라는 느긋한 생각만 갖고 홍보는 손놓고 있다가 뒤통수를 맞았다는 얘기다.

국내 사학자ㆍ지리학자 등이 독도 연구에서 지나치게 원론적인 자세만 고집했다는 지적도 있다.

연간 수십여 편의 논문과 연구결과를 쏟아내지만 막상 이런 사태를 당해 뚜껑을 열어보면 역사 지리학적인 대응논리로 써먹을 수 있는 것은 몇 안 된다는 지적이다. 일본학 전문가인 김현구 고려대 역사교육과 교수는 "학문으로 맞서면 일본도 얼마든지 그에 상응하는 논리를 만들어 낼 능력이 있다"며 "외교ㆍ국제정치 속에서 일본이 독도나 동해 등의 영토 문제를 제기할 수 없도록 하는 게 바람직하지만, 이런 분야 연구는 취약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일본의 아킬레스건은 과거사"라며 "일본 내 양심을 자극할 수 있도록 △일본의 영토 확장 야욕 △일본의 아시아 침략 등을 일본인에게 적극 알리고, 더불어 중국과 러시아와 공조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전국에 흩어진 연구기관ㆍ단체들을 모아 전략적 체제로 전환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박선영 포항공대 교수는 "산발적으로 연구하는 것만으로는 유기적인 전략을 세울 수 없다"며 "관련 분야를 망라한 연구팀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했다.

[이지용 기자 / 김대원 기자][ⓒ 매일경제 & mk.co.kr
0 Comments
Category
State
  • 현재 접속자 225 명
  • 오늘 방문자 17,848 명
  • 어제 방문자 2,773 명
  • 최대 방문자 17,848 명
  • 전체 방문자 1,678,097 명
  • 전체 게시물 10,948 개
  • 전체 댓글수 35,463 개
  • 전체 회원수 74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