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site-verification: naverf83ad7df1bcc827c523456dbbc661233.html 눈물의 여왕 - 전 옥
홈 > 블로그 > 내 블로그 > 이야기
내 블로그

눈물의 여왕 - 전 옥

fabiano 10 2863  

눈물의 여왕 - 전 옥

1514990998159668.gif
전옥 /째즈의 멜로디

물의 여왕 전옥의 본명은 전덕례로 16세 소녀시절 오빠 전두옥에게 떼를 쓰다시피하여 배우의 꿈을 안고 고향 함흥에서 서울로 오게 되었다.

오빠 전두옥은 만능운동가로 나운규의 무성영화에서 스턴트맨으로 자주 출연하였다. 전옥이라는 예명은 오빠 전두옥의 끝이름 글자에서 지어졌다.

1927년 단성사에서 상연된 무성영화 <낙원을 찾는 무리>에서 임운학 상대역인 여주인공으로 첫데뷔한 전옥은 11월에는 나운규가 감독한 <잘있거라>에서 나운규, 김연실, 이금용 일류 인기배우와 출연하면서 연이어 나운규 감독의 <옥녀> <사랑을 찾아서>에 출연하였다.

1514990999484690.gif
낙원을 찾는 무리(1926)

1920년대의 무성영화 제작은 일년에 몇편 정도 밖에 제작되지 못하였기 때문에 전옥의 활동 무대는 극장무대가 중심이 되었다.

토월회에서 <아리랑고개>를 공연할 때 여주인공역의 석금성이 사고로 무대에 못나오자 전옥이 대신하게 되었다. 전옥은 북녘 만주땅으로 떠나는 이별장면에서 울음 섞인 절규가 터져나오는 연기로 관객들의 열렬한 갈채를 받으면서 단숨에 장안의 인기를 모았으며 레코드회사에서는 전옥을 등장시켜서 노래하는 배우로 음반을 제작하기 시작하였다.

1933년 4월에 포리돌레코드에서 <째즈의 멜로디> <살어지는 정염> <님을 두고 가는 나를> 노래하면서 연극과 넌센스도 음반으로 나왔는데 강홍식과는 <침묵> 음반과 넌센스로 <카페일경>을 발표하였고 연이어 극작가 왕평과 전옥이 출연하는 <항구의 일야> 음반(上下편)이 나오자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1514991000457627.gif
잘있거라(1927)

<항구의 일야> 주제가는 싱어송 라이터인 김용환이 노래하였다. 1939년 1월에도 <항구의 일야> 음반이 나와서 전옥의 노래보다는 전옥의 연극음반이 전국을 휩쓸었었다.

세상이 덧없으니 믿을 곳없어
마음속 감춘 정도 그 누가아랴
잔들어 이 설움을 잊으나 보랴
떠나는 그를 잡고 울어나볼까
외로운 이 한밤을 울며 세우니
하늘가 별빛마저 고향이 그려 고향이 그려

빅터레코드에서도 9월에 <풍년맞이> <한세상 웃세> 등 몇곡의 노래가 나왔었다. 1934년 남편 강홍식과 콜럼비아 레코드 전속가수로 1월에 <그리운 님> <섬밤> <실연의 노래>를 시작으로 계속 음반이 발표되었으나 노래보다는 극장에서 인기가 높아 비극의 주인공으로서의 인기는 계속되었다.

1514991001194028.gif
전옥

1932년 전옥 강홍식 부부는 딸 강효실을 낳고 단란한 가정을 꾸려왔으나 강홍식의 노래 "처녀총각"이 대힛트 된 이후 차츰 남편 강홍식의 자유분방한 성품이 내성적이고 감성적인 전옥을 눈물의 여인으로서 슬픔의 여인이 되게 하였는지도 모른다. 분방한 강홍식은 연극배우와 극단무대의 연출가로서 전옥의 곁에 있는것보다도 항상 밖으로 나도는 시간이 더욱 많았다.

" 말못할 이 사정을 뉘게 말하며
안타까운 이 가슴 늬게 보이나
넘어가는 저 달도 원망스러워
몸부림 이 한밤을 눈물로 사네"

1934년 콜럼비아 레코드에서 노래한 <실연의 노래> 가사처럼 안타까운 속사정으로 살아가는 눈물의 여인이었다.

6.25 전쟁때에 월남한 첫딸 강효실(탈렌트 최민수 모친)도 1963년 배우 최무룡과 이혼하여 눈물의 여왕 전옥은 1969년 사망할때까지 눈물의 여인으로 계속되는 여정이었다.

1951년 국군이 서울을 탈환하고 북으로 진격시 평양에 입성한 육군 1사단 선무공작대에 한복을 차려입은 한처녀가 찾아왔다. 선무공작대는 배우와 가수등으로 조직된 연예대로서 육군 1사단에는 이종철(희극배우), 최남용(초기의 가수), 송달협(OK 레코드 전속가수), 김희갑(희극배우)등이 있었다.

한복의 처녀는 강효실이었으며 선무공작대에서 서울로 보내어져 그리던 어머니 전옥을 만나게 되었다.
60년대에는 부모의 자질을 이어받아 국립극장에서 연극배우로 연기력을 인정받아 1965년 변기종, 백성희, 박근영, 여운계, 김금지등과 국립극장 단원으로 무대배우활동을 하였다. 드라마 센터에서는 유치진의 연출 <소> <춘향전>을 어머니 전옥과 같이 출연도 하였다.

1514991002797149.gif
목포의 눈물(1958)

전옥과 재혼한 최일은 1933년 경평축구대회(경성, 평양 축구대항전)에서 평양축구단의 감독으로 나온 축구인으로 1943년 전옥과 백조가극단을 조직하고 8.15 해방이후도 백조가극단을 재건하여 흥행사업을 한 인물로 현재 생존하고 있다.

8.15 해방이후부터 1960년초까지 전옥은 극장무대에서 계속 정열적인 연기로 관중의 인기를 끌었다. 연극내용 보다는 전옥의 연기를 보기 위하여 관중들이 모여들었다.

전옥의 연기특징은 한국여성의 삶과 희비애락이 담긴 모노드라마(독백)에서 천부적인 표현력이 담겨져 있다. 비통한 울부짖는 절규의 연기에 조용한 객석에는 눈물로 젖어 마력에 이끌리듯 하였다.

1950년대 극장 선전문구에는 "눈물없이 볼 수 없는 무대" "필히 손수건을 준비하시라"는 글이 전옥의 공연에는 필수문구였다.

연극의 레파토리는 <항구의 일야> <눈나리는 밤> <자장가> <종로의 밤> 등이 주요 레파토리였다.

일제시대 전옥의 상대역으로는 강홍식, 김용환, 장동희등이며 8.15 해방이후의 상대역은 신영균, 황해, 최봉, 최무룡 등이었다.

1957년에 백조영화사를 설립하여 최무룡, 전옥 주연으로 <항구의 일야>를 제작하고 1958년에 황해, 전옥 주연의 <눈내리는 밤>과 황해. 독고성. 최봉, 전옥 출연의 <목포의 눈물>을 제작하였으며

1514991002882880.gif
저언덕을 넘어서(1960)

1960년에는 김승호, 허장강, 황해와 함께 출연하여 <저 언덕을 넘어서> 영화와 김수용 감독 연출인 <버림받은 천사>를 제작하였다.

1958년에는 한국무대예술원상을 처음으로 수상하였다. 1965년에는 <항구의 일야>를 LP음반으로 제작하였는데 성우 남성우, 천선녀, 배우 김영준, 원희옥이 출연을 하고 주제가는 이미자가 노래하였다.

배우 전옥은 가수로서의 발자취보다는 극장무대에서 비극의 주인공으로 무대를 장식하였고 눈물의 여왕으로 연예사의 한폐이지를 장식한 여인으로서 1969년 고혈압으로 눈을 감았다.

1998년 삼성영상사업단의 주관으로 예술의 전당에서 연극 <눈물의 여왕>을 공연하고 전국대도시 순회공연을 하였다. 1953년 전옥의 백조가극단 공연내용으로서 대본연출에 이윤택, 전옥역에 영화배우 이혜영, 연희단거리패의 20여명과 신구, 배삼룡등이 특별출연하였다.




전 옥 의 노 래

1514991003211925.gif
항구의 무명초(1954)

실연의 노래 (1934년 콜럼비아 레코드, 작사 범오, 작곡 김준영)

1. 말못할 이사정을 뉘게 말하며
안타까운 이가슴 늬게 보이나
넘어가는 저달도 원망스러워
몸부림 이 한밤을 눈물로 사네

2. 풀언덕 마주앉아 부르던 노래
으스럼한 달아래 속살거린다
잊어야할 눈물에 기억이 던가
한때에 한나절에 나를 잊었나

3. 상처진 옛기억을 잊으려하나
잠못드는 밤만이 깊어가누나

귀뚜라미 울음이 문틈에 드니
창포밭 옛노래가 다시 그립다.

수양버들(1936년 콜럼비아 레코드, 작사 유도순, 작곡 전기현)

1. 물소리 따라서 시냇가오니
버들잎고요히 물우에지네
지는 버들 받아서 입에 물으니
님 그리는 곡조가 느껴 울어요

2. 버들잎지오니 내맘도지리
올해의 기약도 또 헛되구나
수양버들 느러진 그가지속에
님 그리는 이 마음 걸어둘래요.

3. 버들잎 물우에 떠서 흐르니
내설움 묻혀서 멀리 보내리
버들두고 만났다 헤어진 그라
수양버들 못잊는 신세이여요.

1514991004149536.gif
항구의 일야 / 전옥

항구의 일야

원작 : 왕평, 전옥

[배역]

탄심 - 여주인공, 전옥
이철 - 탄심의 애인, 남성우
영숙 - 탄심의 친구, 천선녀
박민 - 탄심의 의형제(오빠), 김영준

"港口의 一夜" 감상하기


이 근 태 (가요114 기획위원, 가요사 연구가)

10 Comments
어여쁜 나 2016.12.27 11:52  
눈물의 여왕 고 전옥씨라면 바로 영화배우 최민수씨의 외할머니시고 역시 배우였던 고 강효실씨의 어머니셨네요?
fabiano 2016.12.29 11:47  
그렇슴다~~~우찌, 이런 것도 잘아는지?
어여쁜 나 2017.03.23 11:46  
사실 옛날 원로여배우들의 고향들을 보면 모두 이북출신들이 다수였다는거 모르셨을겁니다~!!! 말씀드렸듯이 6.25전쟁이 나기전까지는 이북출신의 실향민 여성어르신분들이 이남출신의 여성어르신분들보다 미인들이 많았다는거~!!!! 하지만 6.25전쟁직후 1980년대이전까지는 북한영화에서 봤겠지만 당시 거기에 나온 북한의 내노라하는 젊은여배우분들 오히려 당시 1950년대~1970년대말 한국영화에 출연했던 미녀여배우들보다 인물좋은 여성들 단한사람도 없었다는 사실 잊지말아야죠~!!!!(계속 반복해서 정말 죄송합니다~!!!! ㅡㅡ;;;;;;)
어여쁜 나 2017.03.23 11:49  
일제시대때 당시 활동했던 평양기생들의 사진들을 보면 요새기준으로 봤을때에는 결코 절세미녀라고 보기에는 어려운얼굴들이지만 당시에는 그래도 절세미모라고 봐줄만한 얼굴들이었으니....!!!!
fabiano 2017.03.24 18:04  
한국적인 아니, 조선시대 여인상의 얼굴이었슴다.
fabiano 2017.03.24 18:06  
그래도 남남북녀라는 말처럼 예쁜 여인들도 많았을 것이란... 북한영화 출연 배우들이 얼마나 되었을까요?
어여쁜 나 2017.07.01 22:05  
어쨌거나 요새 우리나라 젊은미녀들은 전부 성형미녀들이 대세라서 자연미녀들을 보기 힘들어진 세상이니...!!!
fabiano 2017.07.04 22:27  
에구, 그냥 생긴대로 살 것이지...성형한 얼굴중, 영~ 보기 싫은 얼굴도 있어요.
어여쁜 나 2017.07.06 21:35  
맞아요~!!! ㅡㅡ;;;;;; 앞으로는 자연미인들은 없어지고 성형미인들이 대세일테니깐요~!!!
fabiano 2017.07.07 17:08  
세태가 그렇게 흐르니까, 어쩔 수 없다지만...그래도 자연 미인들은 많을 듯...
Category
State
  • 현재 접속자 35 명
  • 오늘 방문자 1,029 명
  • 어제 방문자 683 명
  • 최대 방문자 19,163 명
  • 전체 방문자 2,157,586 명
  • 전체 게시물 10,948 개
  • 전체 댓글수 35,468 개
  • 전체 회원수 77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