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site-verification: naverf83ad7df1bcc827c523456dbbc661233.html 大田의 어제와 오늘 (동영상)
홈 > 블로그 > 내 블로그 > 그때 그 시절
내 블로그

大田의 어제와 오늘 (동영상)

fabiano 11 1782  

 

1515088797764508.jpg

1515088798272714.jpg

                                       대전직할市





대전의 역사와 공업

대전의 역사
-대전의 지리적 위치 설명
-대한민국 국토의 중심에 위치
-교통의 중심지가 된 대전
-구석기 시대부터 대전에서 사람이 살기 시작
-박팽년 선생 비롯 애국선열들을 배출
-1931년 대전면이 대전읍으로 승격
-1932년 충남도청이 대전으로 이전
-1949년 인구 12만의 시로 개칭
-6.25전쟁시 수많은 피난민들이 대전에 모여듦.
-대전방위에 공을 세웠던 미육군 제24사단장 구출작전이 전개되기도 함.
-1957년 9월 대전 경찰서내에 어린이 놀이터가 개장
-11월에는 공전식 전화 개통
-1970년 9월 경부고속도로 개통
-12월 대전, 전주간에 호남 고속도로 개통
-유성과 신탄진에 전해저 오는 5일장의 모습
-1989년 직할시로 승격
-아파트 단지의 모습
-대덕구 농수산물 도매시장의 경매 모습
대전의 공업
-방적, 양조 공업이 발전하게된 대전
-제3공단이 조성, 앞으로 4공단이 조성될 예정
-한국담배인삼공사의 공장모습
-88올림픽때 울려 퍼지던 용고
-용고는 대전의 특산품임.
-각종 공예품의 모습.



출처:대전 너른 벌에 희망찬 기운

11 Comments
昊星(호성) 2008.09.24 23:34  
기역을 새롭게 하는 몇가지가 눈에 들어오네요. 잘보고 추천합니다.
fabiano 2008.09.25 00:24  
60년대, 그 시절의 여러 모습이 생각납니다. ㅈ지금도 어느곳엔 그 시절의 모습이 남아 있고요.
kbcdmjkg 2008.09.25 07:03  
상전벽해(桑田碧海)란 성어가 있습니다 만 6.25 사변중에 한때 대전역에서  살면서 당시 수복 직후라 시가지 약백m 간격으로 부서진탱크가 산재해 있었고 피란온사람들의 생활상 삼성동의 혼란한시장등 그런 기억을 되살리면서 잘 보았습니다
fabiano 2008.09.25 07:12  
60년대 초반, 대전 큰집에서 학교를 다녔는데 산길을 따라 가는 길목 한켠에 大田郡이란 표지석이 생각나고 적산가옥이 많았던 시내 거리 풍경도... 6.25전쟁때, 부산에서 한많은 피난살이도 겪었지요.
학암 2008.09.25 07:44  
60년대 호남선 철도 통학을 해보았기에 추억에 젖어봅니다. 대전역에서 학교까지도 먼 길인데 신도안 시골에서 시오리를 걸어서 기차타고 왔었지요. 지금 역사는 많이 바뀌었지요. 광장도 많이 줄어들었지요.
fabiano 2008.09.25 09:18  
그 시절, 산내 이사리의 큰집에서 자양동 소재 학교까지 걸어서 다녔슴다. 왕복 약 30리길을 무거운 책가방을 들고서요. 정말, 격세지감을 느낍니다.
주주몰 2008.09.25 22:56  
GI 지수가 낮아서 한심하고 먹을수 있는 맛있는 고급식사 전 쿠키맛 먹구 있는데요 넘 맛있어요 날씬해지고 예뻐지고 싶다면 식사를한번 바꿔보세요 고영양 저칼로리 정말 짱에욤^^ http://jujumall.net
fabiano 2008.09.26 03:02  
(-_-)
대전비찬가 2008.10.04 08:21  
정치권에서 뒷그림자만밟은 지역이기에 80 년대까지도 5 층건물하나없던대전시가지, 바닥은 넓어보이나 단층건물들이 쫙 펼쳐진 대전시가지 여타도시와 비교할때 너무나 초라햇던 대전시가지 이런모습을보면서 정겨워야할 대전을 별로이 탐탁찬케생각하고 살아왓지요, 일일생활권때문에 밀려나야하는 대전시가지,
fabiano 2008.10.04 08:51  
그래도 근래와서 많은 발전과 괄목할 만한 성과가 눈에 띄게 보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대전만큼 도로망이 잘 된 곳은 없지요.
fabiano 2008.10.17 18:30  
대전은 애시당초, 백부, 숙부, 고모,사촌들이 모여 사는 곳이죠. 학창시절을 보냈고 커서는 이곳 저곳으로 직장따라, 이사도 10여 차레 했고..한밭이란 이름답게 전국에서도 도로가 잘 정비되고 넓은 곳이죠. 살고 싶은 곳입니다.
Hot

인기 상표 따라 100년` 시간여행을 떠나자

댓글 0 | 조회 1,692
Hot

인기 선교사가 찍은 100년 전 우리나라 어린이들 모습

댓글 1 | 조회 2,299
Hot

인기 원두막의 추억 - 이 한 장의 사진

댓글 4 | 조회 3,071
Category
State
  • 현재 접속자 125 명
  • 오늘 방문자 3,315 명
  • 어제 방문자 6,673 명
  • 최대 방문자 14,619 명
  • 전체 방문자 1,427,835 명
  • 전체 게시물 11,133 개
  • 전체 댓글수 35,743 개
  • 전체 회원수 73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