愛憎의 거리 - 충무로 뒷 이야기
미국에 할리우드가 있다면 한국에는 충무로가 있다.
한국 영화의 메카, 충무로는 정확히 어디를 말하나?
남북방향으로는 명동 세종호텔과 중앙시네마 옆을 지나는 삼일고가도로에서부터 돈화문로(매일경제 구관 앞길)에 이르는 구간, 동서방향으로는 퇴계로와 마른내길이 만나는 직사각형 구간을 영화인들은 충무로라 부른다.
건물을 중심으로 말하면 극동빌딩·쌍용빌딩·명보극장·매일경제신문사 네 개의 꼭지점이 만들어내는 공간이다.
성인 걸음으로 20분이면 한 바퀴를 충분히 돌아볼 수 있다.
영화의 메카 충무로 얘기를 할 때 빼놓아서는 안되는 길은 돈화문로와 수표다리4길이다.
청계천로에서 시작된 수표다리길은 남쪽으로 극동빌딩까지 이어지면서 양 옆으로 수표다리1~6길을 파생시킨다.
수표다리4길에는 1960~1970년대 수많은 영화사, 다방, 배우ㆍ가수 학원, 여관, 식당 등이 밀집해 있었다.
충무로 상징 건물인 극동빌딩 옆길은 ‘은막길’이다. 흰빛의 영사막을 뜻하는 은막(銀幕)….
1960~1970년대 충무로를 주름잡았던 김지미, 문희, 윤정희, 남정임을 가리켜 사람들은 ‘은막의 여왕’이라 부르곤 했다.
어느덧 세월이 흘러 ‘은막의 여왕’하는 표현은 구식(舊式)이 되어버린 감이 있다.
필름대리점, 출력소, 현상소, 인쇄소, 슬라이드 대여점, 기획실 등이 한 집 건너 한 집 꼴로 몰려있는 것은 충무로에서만 볼 수 있는 광경이다.
지금은 흔적조차 없어졌지만 충무로에는 영화와 얽힌 유명한 다방이 몇 곳 있었다.
스타다방, 초원다방, 벤허다방(수표다리4길), 폭포수다방, 청맥다방(돈화문로) 등이 그것이다.
연기자들 집합장소였던 ‘스타다방’ .. 1960년대 스타다방은 조연, 단역, 엑스트라 연기자들의 집합소이자 연락 사무소였다. 타임머신을 타고 1960년대로 돌아가보자.
조감독이 스타다방의 문을 열고 들어가자 실내는 담배연기로 자욱하다.
20개 테이블의 나무의자 여기저기에 최봉, 김칠성, 장혁, 양택조, 남포동 등의 얼굴이 하릴없이 다방에 죽치고 앉아있는 ‘죽돌이’ 무리 속에 보인다.
조감독이 들어오자 일제히 배우들의 시선이 조감독에게 모아진다.
여기저기서 손을 들거나 일어나 조감독에게 아는 체를 한다.
조감독은 다방 안을 쭉 훑어보면서 담배를 한 모금 길게 내뿜은 뒤 입을 열었다.
“어이, 거기 다섯 사람 내일 새벽 4시에 황소집 네거리로 나와!”, 순간 배우들의 얼굴에 화색(和色)이 돈다.
1962년에 문을 연 폭포수다방에 들어가면 이만희 감독의 ‘돌아오지 않는 해병’에 출연한 배우들을 만날 수 있다.
장동휘, 박노식, 장혁, 최승희 등 이른바 ‘이만희 사단’의 연락 사무소가 폭포수다방이었다.
이만희 사단이 이 다방을 자주 이용한 까닭은 이 감독이 소속돼 있던 대원영화사가 대한극장 건너편에 위치해 폭포수다방과 가까웠기 때문이었다.
청맥(靑麥)다방은 시나리오 작가와 조감독이 주로 모이는 장소였다.
작가 사무실이 있을 리 없던 시절, 시나리오 작가들은 근처 여관이나 청맥다방에서 원고를 썼다.
다방 마담은 영화사 사장이나 조감독의 전화 메모를 받아주고 약속 장소를 전해주는 등 사실상 비서 역할을 했다.
청맥다방은 원래 수표다리4길 스타다방 옆에 있다가 1986년 돈화문로로 옮긴 후 1993년 문을 닫았다.
그밖에 벤허다방은 영화감독, 초원다방은 제작자와 감독이 자주 이용했다.
지금도 남아 있는 극동빌딩 지하 극동커피숍은 영화기획자들과 지방 극장주들의 약속 장소다.
전성기를 구가하던 1970년대 충무로에는 대원호텔(현 대원빌딩), 아스토리아호텔, 라이온스호텔(현 라이온스빌딩) 3개의 호텔이 있었다.
조감독을 비롯한 스태프와 배우들이 주로다방을 이용했다면 유명 영화감독들은 주로 호텔 커피숍에서 제작자나 배우를 만났다.
라이온스호텔은 유현목 감독을 위시한 1세대 감독들이 주로 이용했다.
아스토리아호텔 커피숍은 2세대 영화감독들의 명소였다.
‘겨울여자’의 김호선 감독은 영화 ‘애니깽’을 만들 때 아스토리아호텔 객실을 장기간 빌려 사용하기도 했다.
대원호텔은 대원오피스텔로 바뀌었는데 영화배우 신성일(현 국회의원)씨가 만든 영화사가 이 곳에 있었다.
‘동신여관’에서 만들어진 ‘천일야화’ 충무로에서 수많은 일화를 남긴 곳이 동신여관이었다.
‘동신여관에 투숙하지 않은 사람은 영화인이 아니다’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동신여관은 영화인들과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였다.
시나리오 작가들은 이 여관에 방을 잡고 글을 썼으며 다음날 청맥다방으로 원고를 들고 나갔다.
시나리오 작가 윤석주·나대로씨가 이 동신여관에서 작업을 하다 과로로 숨졌다.
일부 유명 여자배우들은 은밀히 동신여관에서 감독을 만나고 새벽녘에 돌아가곤 했다.
밤마다 ‘천일야화(千日夜話)’가 만들어졌다.
특히 동신여관은 아침밥이 맛있기로 유명해서 군산상고와 경남고 야구팀이 전국대회를 하기 위해 서울에 오면 반드시 묵었던 여관이다.
군산상고는 동신여관에서 아침밥을 먹고 1972년 황금사자기 고교야구대회 결승전에 부산상고를 극적으로 이겨 ‘역전의 명수’라는 신화(神話)를 창조했다.
동신여관은 중부소방서 옆골목에 있었는데, 지금은 해봉빌딩으로 바뀌어 영화배급사들이 들어 있다.
1986년은 충무로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해다.
우리나라는 WTO(세계무역기구)에 가입하면서 영화사법을 허가제에서 신고제로 바꾼다.
이렇게 되자 영화사가 우후죽순처럼 생겨나 20개이던 영화사가 1986년 한 해 130개로 늘었고,
이 중 100개 이상이 충무로에 몰려 있었다.
현재 등록된 영화사는 1500여개에 이른다. 수많은 영화사가 소리없이 등장했다가 소리없이 사라지곤 했다.
작은 영화사들은 사장, 경리직원, 제작부장, 운전기사 등 3~5명이 전부였다.
한국 영화의 르네상스가 도래한 1990년대 중반 이전까지 영화시장의 80% 이상을 외화가 장악했다.
영화사들은 외화 수입으로 돈을 벌고 여기서 번 돈으로 한국 영화를 제작하곤 했다.
영화사 사장은 영화 제작이 결정되면 충무로에 넘쳐나는 영화배우와 영화인들 사이에서 감독·주연배우 등을 물색, 각각 계약을 한 뒤 영화 촬영에 들어갔다.
거액을 투자해 만든 영화가 며칠만에 간판이 내려져 망하게 되면 야반도주하는 일도 흔했다.
그래서 충무로의 빌딩주들은 한때 영화사가 입주하는 것을 달갑지 않게 여기곤 했다.
90년대에 비교하면 많은 영화사들이 여러가지 이유로 충무로를 떠났지만 2003년 현재 충무로는 여전히 충무로다.
충무로의 대형빌딩에는 여전히 크고 작은 영화사가 몇개씩은 들어 있다.
동화빌딩 혜성빌딩 영한빌딩 흥국빌딩 등에 크고 작은 영화사들이 들어있다.
충무로에 터잡고 있는 영화사들 중에서 가장 잘 나가는 곳이 강우석 감독의 씨네마 서비스다.
강우석 감독은 영화잡지 ‘필름 2.0’에 의해 충무로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인물로 선정된 바 있다.
씨네마 서비스는 영화인들 사이에 속칭 ‘코끼리빌딩’으로 불리는 흥국빌딩의 4~5층을 쓰고 있다.
흥국빌딩 내에는 씨네마 서비스 외에도 요즘 한창 뜨는 영화사들이 세들어 있다.
감독의 집(대표 김상진), 필름 매니아(대표 지미향), 씨네 2000(대표 이춘연), 한맥영화(대표 김형준),
좋은 영화(대표 김미희)가 그것이다.
감독의 집에서 2002년 하반기 최대 히트작 ‘광복절 특사’, 씨네 2000에서 ‘중독’, 좋은 영화에서 ‘신라의 달밤’을 각각 제작했다. 흥국빌딩 앞에는 ‘영화촬영’이라는 아크릴 안내판을 운전석 앞에 끼운 버스가 시동을 걸고 있는 것을 흔히 발견할 수 있다.
극동빌딩 뒤편의 영한빌딩에는 ‘달마야 놀자’를 제작한 영화사 씨네월드(대표 이준익)가 있다.
** 글- 조성관- 주간조선